모바일 홈쇼핑 트렌드(월간)

[특별 리포트] 2023년 1월에 홈쇼핑시장에서 주목해야할 키워드 5

홈쇼핑모아

2022.12.30 08:00
  • 1840
  • 콘텐츠에 ‘좋아’해줘서 고마워요 -
    0
  • 1

안녕하세요! 홈쇼핑모아입니다.

홈쇼핑모아 광고주센터에서 특별 모바일 홈쇼핑 트렌드 ‘급상승 키워드 콘텐츠’를 제공해드립니다.

 

모바일 홈쇼핑 트렌드는 홈쇼핑, 벤더사 등 홈쇼핑 업계 종사자에게 유의미한 상품 및 사용자 분석 데이터를

제공하는 국내 유일 모바일 홈쇼핑 빅데이터 서비스입니다.

 

국내 모든 홈쇼핑 및 T커머스가 모여있는

홈쇼핑모아의 빅데이터를 활용해 현재의 홈쇼핑을 분석하고,

앞으로의 홈쇼핑 트렌드를 예측해보세요!

 

 

2021년 12월과 2022년 1월의 검색키워드 데이터를 통해 2023년 1월 급상승 키워드를 예측해보았습니다. 그중에서 2021년 12월 대비 2022년 1월 상승폭이 크고 지속적으로 콘텐츠에서 높은 순위에 올랐던 키워드들은 5개 선정해 분석했습니다. 선정된 키워드들이 과거에 왜 급상승했었고 예상대로 2023년 1월에도 수치가 급상승할지 살펴보세요!

 

 

1월 급상승 키워드 1. 기모트레이닝복

 


첫 번째 2023년 1월 급상승 키워드로는 "기모트레이닝복"이 선정되었습니다. 데이터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2020년에는 9월 말부터 서서히 쿼리수가 오르다가 2020년 12월 1주차에 쿼리수가 전월 대비 273%(+) 상승해 수치가 가장 높았습니다. 그러다 2021년 8월까지 감소하다가 2021년 9월부터 수치가 올라 2021년 11월 2주차 쿼리수가 전월 대비 277%(+) 증가했습니다. 2022년에도 비슷하게 10월부터 상승 곡선을 그리고 있는 것으로 보아 겨울이 끝날 때까지 인기가 지속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네이버 검색량은 30~60대 이상 여성을 기준으로 추출한 데이터로 백분율로 치환된 수치입니다.

 

 

"기모트레이닝복" 키워드의 홈쇼핑과 네이버 내에서의 검색량은 어떻게 달랐을까요? 앞선 그래프와 마찬가지로 홈쇼핑모아 내 쿼리수와 네이버 검색량이 9월부터 올라 10월~12월에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습니다. 자세히 살펴보면 2021년에는 홈쇼핑모아 앱 내 쿼리수가 11월 2주차에 전월 대비 277%(+), 네이버 내 검색량은 10월 3주차에 전월 대비 3,584%(+) 올라 수치가 가장 높았습니다. 그 이후 2022년에도 네이버와 홈쇼핑모아 모두 12월에 수치가 상승하는 만큼 2023년 1월 검색량도 높을 것으로 예측됩니다. 

 

 

 

1월 급상승 키워드 2. 양모베스트

 



2022년 12월 급상승 예상 키워드로 베스트/조끼 키워드가 뽑혔었는데 2023년 1월에도 급상승 예상 키워드로 "양모베스트"가 뽑혔습니다. 이 키워드는 2020년 12월 3주차 쿼리수가 전월 대비 144%(+) 상승해 수치가 가장 높았습니다. 그러다 2021년 8월까지 감소하다가 2021년 10월부터 다시 수치가 올라 2021년 10월 3주차에 전월 대비 쿼리수 307%(+), 방송상품클릭수 74%(+) 증가했습니다.  

 

 

*네이버 검색량은 30~60대 이상 여성을 기준으로 추출한 데이터로 백분율로 치환된 수치입니다.

 

 

양모베스트 키워드의 홈쇼핑과 네이버 내에서의 검색량을 비교해 보겠습니다. 홈쇼핑모아 앱 내 쿼리수는 2021년 10월 3주차 때 전월 대비 75%(+), 네이버 검색량은 12월 2주차 때 전월 대비 13%(+) 증가했습니다. 2022년에도 네이버 검색량이 12월 1주차 때 전월 대비 수치가 6.8%(+) 상승해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습니다. 이러한 수치를 보았을 때 2023년 1월에도 양모로 제작된 베스트가 인기를 끌 것으로 기대됩니다. 

 

 

1월 급상승 키워드 3. 부츠

 


 

2022년 11월, 12월에 이어 2023년 1월에도 "부츠"가 급상승 예상 키워드로 선정되었는데요. 이 키워드는 2020년 12월 1주차 쿼리수가 전월 대비 84%(+) 상승해 2020년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습니다. 그러다 2021년 9월까지 감소하다가 2021년 10월부터 다시 수치가 올라 2021년 12월 1주차에 전월 대비 쿼리수 111%(+), 방송상품클릭수 82%(+) 증가했습니다. 2022년에도 10월부터 인기가 늘어 현재까지 인기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네이버 검색량은 30~60대 이상 여성을 기준으로 추출한 데이터로 백분율로 치환된 수치입니다.

 

 

"부츠" 키워드의 홈쇼핑과 네이버 내에서의 검색량을 비교해 보겠습니다. 2021년 12월 1주차에 홈쇼핑모아 앱 내 쿼리수가 전월 대비 188%(+), 네이버 검색량은 전월 대비 71%(+) 증가했습니다. 2022년에도 12월 3주차 때 네이버 검색량이 전월 대비 180%(+) 상승하며 인기를 끌었습니다.

 

이러한 부츠키워드는 두 번째 급상승 예상 키워드로 뽑힌 양모베스트와 같이 양털 달린 상품이 트렌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무신사에 따르면 어그부츠는 여성 신발 카테고리 월간 판매 랭킹 상위 30위 중 17개를 차지했으며 11월 24∼30일 락피쉬웨더웨어, 이뮤 등 양털 부츠를 선보이는 브랜드의 무신사 내 거래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0%나 늘었다고 합니다. (관련 자료 : "머리부터 발끝까지 양털로"…군밤모자·어그부츠 인기)이러한 수치를 보았을 때 2023년 1월까지도 수요가 유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1월 급상승 키워드 4. 반지



네 번째에도 여성 패션/잡화 키워드인 "반지"가 차지했습니다. 반지 외에도 목걸이도 수치가 상승한 키워드였는데 보통 주얼리는 노출이 많은 여름에 급상승하지만 반지는 겨울에 수치가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연말과 새해가 시작되면서 선물을 위한 수요 증가로 예상되는데요. 반지 키워드는 2020년 2월 2주차 때 전월 대비 쿼리수가 48% 올라 수치가 2020~2022년동안 가장 높았습니다. 그 이후에도 2020년 12월 3주차 때 전월 대비 쿼리수가 139% 상승한 만큼 연말~연초에 인기가 늘어남을 볼 수 있었습니다.   

 


 

*네이버 검색량은 30~60대 이상 여성을 기준으로 추출한 데이터로 백분율로 치환된 수치입니다.

 

 

반지 키워드는 홈쇼핑모아 앱 내 쿼리수가 2021년 12월 4주차에 전월 대비 26%(+), 네이버 내 검색량은 2021년 12월 2주차에 전월 대비 44%(+) 올라 수치가 가장 높았습니다. 2022년에는 12월 4주차 때 네이버 내 검색량이 전월 대비 18% 올랐는데요. 이후에도 상승하는 곡선을 그리는 만큼 2023년 연초, 연말에 인기가 상승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1월 급상승 키워드 5. 스테이크

  

연말, 연초 식탁에 스테이크가 빠질 수 없는데요. 식품 카테고리에서 1월 급상승 키워드로는 "스테이크"가 2021년 12월 대비 2022년 1월에 높은 수치로 급상승해 선정되었습니다. 이 외에도 랍스터 등의 인기가 겨울에 급증했는데 연말이 찾아오면서 분위기를 낼 수 있는 특별한 식품에 대한 니즈가 늘어났습니다. 스테이크 키워드는 2020년 9월 3주차에 가장 수치가 높았는데 전월 대비 쿼리수 58%(+), 방송상품클릭수 74%(+) 상승했습니다. 

 


 

*네이버 검색량은 30~60대 이상 여성을 기준으로 추출한 데이터로 백분율로 치환된 수치입니다.

 

 

"스테이크" 키워드의 홈쇼핑과 네이버 내에서의 검색량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2020년 12월 4주차 때 홈쇼핑모아 앱 내 쿼리수는 전월 대비 318%(+), 네이버 검색량은 전월 대비 305%(+) 증가했습니다. 그 이후에도 홈쇼핑모아 앱 내 쿼리수는 2021년 12월 4주차 때 전월 대비 319%(+), 네이버 검색량은 2021년 12월 4주차 때 전월 대비 277%(+) 상승했습니다. 이러한 그래프 양상은 홈쇼핑모아와 네이버 검색량 모두 비슷한 그래프를 그리면서 2022년까지 이어졌는데 2023년 1월까지도 검색량이 급상승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홈쇼핑 데이터, 광고, 제휴, 모바일 홈쇼핑 트렌드 솔루션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으시다면,

편하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홈쇼핑모아가 홈쇼핑 성공을 응원하겠습니다.

  • #모바일 홈쇼핑
  • #홈쇼핑
  • #소비 트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