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려동물 동반 여행 인기
📣 ‘펫팸족’(Pet+Family) 증가에 항공업계도 '반려동물 모시기'에 적극 나서고 있다는 소식입니다.
💡 인사이트 더하기국내 반려동물 관련 시장 규모가 점점 커지는 이른바, 펫코노미(Pet + Economy)가 급성장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많은 기업들이 펫팸족을 겨냥한 다양한 마케팅과 프로모션을 발 빠르게 선보이고 있습니다. 그 중 일부 기업 사례를 카테고리별로 나누어 간단하게 설명해드립니다.
MZ세대, 일자리 선택시 '워라밸' 가장 중시
📣 MZ세대는 일자리 선택시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을 가장 중시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이른바 MZ세대를 대상으로 일자리 인식 조사를 한 결과 이들 세대는 워라밸을 중시하는 동시에 수도권에 있는 연봉 3천만원대 직업을 '괜찮은 일자리'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경총에 따르면 괜찮은 일자리의 판단기준을 묻는 말에 응답자의 66.5%(복수응답)가 '일과 삶의 균형이 맞춰지는 일자리'라고 답했는데요. 이어 '공정한 보상이 이뤄지는 일자리'(43.3%), '복지제도가 잘 된 일자리'(32.8%), '회사 분위기가 수평적이고 자유로운 일자리'(25.9%) 등의 순이었습니다.
카카오, ESG 보고서 '2021 카카오의 약속과 책임' 발간
📣 카카오는 16일 자사 기업사이트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서 두 번째 환경·사회적 책무·기업지배구조 개선(ESG) 보고서 '2021 카카오의 약속과 책임'을 공개했습니다.
이 보고서는 인사말 및 카카오 소개, 네 가지 중점 영역(사회문제 해결·함께 성장·디지털 책임·지속가능한 환경)에 대한 약속과 책임 및 기술혁신, 디지털 포용성 관련 특집 페이지, 지속가능한 경영을 위한 환경·사회·지배구조 각 영역의 활동, 성과데이터 등이 담긴 부록으로 구성되어 있는데요. 카카오는 지난 1월 설립한 공동체 얼라인먼트센터(CAC)를 중심으로 공동체의 사회적 역할에 대해 고민하고, 경영진과 임직원들의 윤리 의식을 강화해 나갈 예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 인사이트 더하기기업의 역할은 이익의 추구에서 그칠 것이 아니라 인간과 사회에 도움이 되어야 한다는 새로운 정의가 바로 ESG 경영입니다. ESG경영이 무엇인지, 국내 기업의 사례를 함께 알아보시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