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트렌드가 수출·매출에도 영향
📣 기후 변화와 코로나19 여파로 소비자들의 친환경 의식이 높아지면서 기업 수출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25일 발표한 '친환경 소비시대, 부상하는 그린슈머를 공략하라!' 제목의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월 국내 소비재 수출기업 409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 기업의 51.3%는 친환경 트렌드가 수출과 매출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 답했습니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친환경 제품 수요가 높아졌다고 답한 기업이 52.1%에 달해 코로나19 사태가 소비자의 친환경 의식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었는데요.
보고서는 이러한 조사 결과 등을 토대로 최근 글로벌 소비재 시장은 '그린슈머'가 주도한다고 진단했습니다. 지난해 조사에서 글로벌 소비자 중 53%가 그린슈머에 해당하는 것으로 조사됐는데 이는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조사 때보다 약 20%포인트 늘어난 수치라고 합니다.
* 그린슈머는 친환경(Green)과 소비자(Consumer)를 뜻하는 영어단어의 합성어입니다.
💡 인사이트 더하기친환경 마케팅?! 아니, 진정성 충전 찐환경 마케팅해봐 by.위픽레터환경문제가 심각해지면서 많은 사람들이 환경을 생각하는 소비생활💸을 하기 시작했어요. 작년에 화두가 되었던 ESG 경영 다들 들어 보셨나요? 👂
가구·인테리어, 엔데믹에도 지속적인 성장세를 이어갈 것
📣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이 엔데믹(감염병의 풍토병화) 국면에 접어들면서 가구업계가 사업에 고삐를 죄고 있다는 소식입니다.
1일 통계청에 따르면 국내 가구 소매 판매액은 2020년 처음 10조원을 돌파했으며 지난해에는 11조원을 넘어섰습니다. 코로나19 사태로 집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인테리어, 리모델링 수요가 늘어난 영향이 큰데요. 통계청은 국내 생활 가구 시장 규모가 오는 2023년 18조원 규모까지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다만 업계 안팎에서는 일상회복에 따른 소비패턴 변화로 성장세가 둔화할 것이라는 우려가 흘러나오고 있는데요. 이에 업계는 오프라인 매장을 확대하고 마케팅을 강화하는 등 소비자와 접점을 늘리기 위해 분주한 모습입니다. 나아가 중장기적인 경영 전략을 새롭게 짜는가 하면 신규 사업 진출이나 인수합병(M&A)에 나서는 등 대응 채비를 서두르고 있다고 합니다.
💡 인사이트 더하기시몬스가 침대가 없는 광고와 매장을 연이어 오픈하는 건, 이제는 기능보다는 느낌을 강조하는 것이 브랜딩에 더 도움이 되는 시대가 되었기 때문입니다. 과거 시몬스는 '흔들리지 않는 편안함'이라는 기능적인 메시지를 소구 하는데 집중했습니다. 하지만 MZ세대를 공략하기 위해선 브랜딩의 문법이 바뀌어야 한다는 점을 캐치한 겁니다.
요즘 뜨는 문자커머스
📣 통신 3사가 가입자 빅데이터를 활용한 '문자커머스' 플랫폼을 새로운 유통채널로 키우고 있다는 소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