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데이터바우처 공급업체 & 구글 / 페이스북 공식파트너 바름입니다^^
연휴 잘 보내셨나요? 저희 바름은 이번에 조금 긴 연휴를 보내고 왔는데요, 10일간의 휴식 후 업무에 복귀하니 문득 새로운 마음이 듭니다.
두꺼운 마케팅& 데이터 관련 책에서 본 지식들보다 팀장님의 ‘감’이나 ‘느낌’이 더 잘 맞는 순간을 여러 번 목격한 적이 있습니다.
그럴 때마다, ‘이게 정말 내공이구나!’라고 인정하며 감탄합니다.
이런 ‘감’이나 ‘느낌’을 ‘직관’이라고도 합니다. 직관은 경험, 지식, 그리고 수많은 훈련을 기초로 합니다.
업무를 통해 오랫동안 쌓인 이 직관, 경험, 지식들은 특정한 기준을 만들게 되는데, 이런 하나하나의 경험들이 케이스- 레퍼런스 - 데이터가 됩니다.
결국 직관이라고 생각했던 것들도 결국 개개인의 ‘데이터’에 기반한 것이고, 이런 데이터를 바탕으로 머릿속에서 이루어진 통계적인 분석이 ‘직관’으로 나타나게 되는 것입니다.
수많은 a/b 테스트들을 거치다 보니, 어느새 저희 팀장님은 한 시간 넘도록 이어지는 마케터&디자이너 회의를 지나가시면서 ‘a에요~’라고 짚어내실 수 있는 감과, 진행을 했을 때 실제로 a 시안이 가장 먹히는 것을 증명하는 사람이 되었던 것입니다.
감이 좋고 목소리 큰 사람이 의사결정을 내리던 세상에서 고도화 되어 가는 세상으로 변함에 따라 무언가 알 수 없이 맞던 그 촉 ‘직관’에서 눈에 보이는 ‘증명’으로 변해가고 있고, 마케팅 시장은 점점 고도화 그리고 통계화 되어 가고 있습니다.
여러 업체들과 마케팅 기획- 광고 캠페인을 하다 보면 수많은 데이터들이 나오는데 업무를 수행하다보니 어느새 광고를 집행하는 것은 너무 쉬운 일이 되었습니다. 광고 캠페인과 툴에서 쏟아져 나오는 데이터들 중 어떤 것을 뽑아내고(데이터 가공) 해석(데이터분석)하는지를 고민하는데 가장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 여전히 고민합니다.
실제로 규모와 관계없이 많은 기업들의 ‘광고는 유튜브 보고 세팅을 하겠는데, 그다음 플랜이 막막해요.’ ‘광고가 무조건 성공하는게 아니라는 걸 아는데, 그래서 이 광고를 토대로 다음 광고에서는 어떻게 무엇을 보강하고 고쳐야 하는지 모르겠네요’ ‘ga는 사용은 하는데 뭘 보아야 하는 거죠? ‘ 등 데이터를 활용하는 부분에서 고민을 하십니다.
사실 많은 분들이 로그분석 툴이라고 생각하시는 google analytics(ga)는 데이터를 수집하는 툴에 불과하지, 실제로 그 데이터들을 활용하는 것은 사람(마케터)의 영역입니다.
어떤 경험/지식/인사이트를 가지고 있는 마케터냐에 따라 데이터를 가지고 할 수 있는 일들은 무궁무진해집니다.
3개월 전, 국내뿐만 아니라 글로벌 푸드 & 베버리지 브랜드 D사에서 역시 비슷한 고민으로 바름에 찾아오셨습니다. 미주 시장을 대상으로 포지셔닝을 목표로 하고 있고 수많은 광고 대행사와 컨택하고 있는데, 사실 배너 이미지 제작- 배포는 내부인력으로도 가능한데 캠페인을 통해서 인사이트를 얻고자 하는데 바름에서는 가능한지에 대해 물었습니다. (현재 진행 중인 캠페인으로, 후속 콘텐츠에 어떻게 활용하였는지 공개 예정입니다. 다만 세부정보는 오픈하기 어려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바름에서는, 크게 네 가지 카테고리의 데이터 분석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1. 홈페이지 방문 유저들의 데이터
유저들의 인구통계학적인 부분, 행동 흐름 데이터
2. 자사 홈페이지 내 콘텐츠에 대한 피드백
방문 유저들의 메인 페이지, 상세페이지 섹션별 체류율 & 이탈률, 스크롤 데이터 등의 데이터를 통해 어떻게 반응하고 있는지
페이지별 콘텐츠가 실제로 잘 이어지고 있는가 방문 고객이 공감하고 우리가 원하는 의도대로 가고 있는가 체크
3. 광고를 통한 트래픽에 대한 효율, 효과 측정
어떤 매체에서 어떠한 효과를 내고 있는지, 어떤 매체에서 얼만큼의 효과가 나타나고 있는지에 대한 체크
4. 자사 홈페이지 내 목표(회원가입), 문의하기가 어떻게 일어나는지에 대한 부분 체크.
해당 카테고리 외에도, 업종/사이즈에 따라서 목표로 하는 kpi와 그에 따른 핵심 지표들이 달라지고 그에 따른 마케팅 Plan-Do-See 세부 전략이 달라집니다.
마케팅 전략을 어떻게 세워야 할 지 막막하신가요?
--> 데이터 분석을 통한 정확한 현상태 진단과 그에 다른 개선안이 필요합니다.
GA 데이터, 어떻게/ 무엇을 분석해야 할 지 모르겠다구요?
--> GA는 데이터를 수집하는 툴에 불과합니다. 정확한 분석과 전문가의 해석이 필요로 합니다.
결과 데이터에 따라 분석했는데 개선되지 않나요?
--> 데이터별로 문제점과 그에 따른 개선안을 수립함과 동시에 전체적인 마케팅 퍼널 개선이 필수적입니다.
지금 고민하시는게 위 중 하나라도 해당되신다면,
10년간의 데이터 가공 및 활용 케이스를 인정 받은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데이터바우처 공식 공급업체
구글 & 페이스북 광고 실적을 인증 받은 공식파트너사
바름과 함께 하시는 건 어떠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