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 이용자가 갑자기 늘어난 이유
📌'더 글로리' 이후 최고 기록? 넷플릭스 월간활성이용자 1,300만 명 육박📈
최근 넷플릭스의 이용자 증가세가 심상치 않습니다. 넷플릭스의 1월 MAU(월간활성이용자수)는 1,293만 명을 기록했는데요.(코리안클릭 데이터 기준) 이는 2023년 1월 월간 활성 이용자 수 1,263만 명을 기록했던 이후 최고 수치입니다. 한창 '더 글로리'가 공개(2022년 12월)되어 인기를 끌던 시기이기도 하죠. '더 글로리'의 역대급 인기 이후 넷플릭스의 MAU는 지속적으로 하락하다가 2024년 7월 920만 명 수준까지 떨어지기도 했는데요. 2024년 11월 이후 급격한 이용자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오징어게임 시즌2', '솔로지옥 4', '중증외상센터' 등 오리지널 콘텐츠들이 연이어 화제몰이에 성공한 것이 큰 이유입니다. 특히 '오징어게임 시즌2'에 이어 연달아 '중증외상센터'가 공개돼 설 연휴에 입소문을 타고 엄청난 흥행을 거뒀죠.
📌넷플릭스의 제휴 전략이 한 몫 했습니다🤝
📌넷플릭스 광고 인벤토리 증가, 월 4,000원 광고형 요금도 나왔다?
넷플릭스에 따르면 광고 요금제가 도입된 국가에서 신규 가입자의 55% 이상이 광고형 요금제를 선택했다고 합니다. 국내에서도 네이버와의 제휴로 광고 요금제 이용자가 증가하며 광고 인벤토리가 확대되었습니다. 이에 더해 2025년부터 단가 하향 조정으로 기본 노출형 광고(non-skip)의 경우 15초 광고는 29,000원으로, 30초 광고는 39,000원으로 만나볼 수 있습니다.(👉더욱 자세한 내용은 2025년 버전의 넷플릭스 광고 상품 소개서를 참고해보세요.)
넷플릭스는 광고가 없는 기존 '추가 회원(월 5,000원)'보다 저렴한, 월 4,000원에 광고가 포함된 '광고형 추가 회원 옵션'을 지난 1월 새롭게 출시하는 등 광고 비즈니스를 더욱 강화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에 더해 2월에 진행한 '넥스트 온 넷플릭스' 행사에서 매주 에피소드가 공개되는 일일 예능 편성 계획을 예고하며 넷플릭스 시청의 일상화·습관화를 노리는 모습입니다. 2025년에는 전략적 제휴, 콘텐츠와 요금제 다양화 등으로 넷플릭스 광고가 어떻게 성장할지 지켜봐야겠네요.
이번달의 다른 디지털 미디어 & 마케팅 이슈가 궁금하시다면,
보고서 전문을 다운로드해 보세요! (하단 링크 클릭▼)
1. 네이버 4분기 실적 발표, 국내 인터넷 플랫폼 기업 최초 연 매출 10조 달성
- 2025년 상반기, 네이버플러스 스토어 별도 앱과 'AI 브리핑' 도입 예정
2. 카카오, 4분기 실적 발표…매출액 1조 9,591억 원 기록
- 2025년 상반기 카나나 공개 예정, 오픈AI와의 협업 서비스 연내 공개 목표
3. 넷플릭스의 2025년 콘텐츠 전략 키워드는 '개인의 취향'
- 넷플릭스는 2025년 콘텐츠 라인업을 발표, 다양한 장르의 시리즈/영화/예능 라인업을 공개
4. '8조 원' 달하는 국내 팬덤 시장…글로벌 팬덤 플랫폼의 성장성 주목
- 카카오, 팬덤 플랫폼 '베리즈' 출시 예고, 하이브 vs. 카카오 본격 경쟁 예상
5. 배달의민족 vs. 쿠팡이츠 vs. 요기요, 배달앱 '전국 구독 시대' 열렸다
- 배민클럽 전국으로 확대한 배달의 민족, 와우멤버십 힘입어 2위 올라선 쿠팡이츠
** 로그인 시 아래의 첨부파일을 다운로드 받으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