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험을 통해 사람들은
브랜드 자체를
인지하지 않습니다.
경험이 주는 가치와 의미를 '인지' 하지요.
팝업 전성시대라는 말이 지칠만도 하지만 후발 브랜드든 앞서 재미를 봤던 브랜드든 여전히 앞다투어 팝업스토어를 내고 있습니다.
이제
팝업스토어를
안
내면
시대에
뒤쳐지고
후진
브랜드가
될
판이죠. 말은 제주로 보내고 팝업은 성수에 연다고, 2023년 올해는 날이 좋은 봄 이후로 성수동 골목길에만 매주 40여 개 이상의 팝업스토어들이 열고 닫히고 있습니다.
코로나19 이후로 대두되는 팝업스토어의 배경이나 부동산 경기나 기업 운영 변화,
세대
성향, 성공 이유들은 그동안 수없이 보고 들으셨을 거구요.
이제
팝업스토어가
명실상부
뉴노멀이
된
상황에서 '팝업스토어'에 대해서 다시 톺아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더현대는 어떻게 백화점 몰락에서 살아 남았나
더현대
서울은
오픈
당일부터
집객숫자가
매주
뉴스에
나올
지경이었죠.<출처 - 현대백화점>
지난 3월 기준으로 더현대는 개점 이후 딱
2년간
열린
팝업스토어가
총 321개에 이릅니다.
더현대의
이
팝업스토어들에
다녀
간
인원만
해도 460만 명으로 서울 시민 둘 중 한 명은 다녀갔다고 매체에서는 밝히고 있습니다.
더현대의
성공
요인은
책으로도
나올만큼
많습니다만
어쨌거나
백화점
성공을
가늠한다는 3대 명품인 에루샤(에르메스,
루이비통, 샤넬)
없이도
성공을
견인한
것에는 처음부터 젊은 세대 타깃팅을 확실히 하여 방문 안 하고는 못 베길 팝업스토어들을 유치한 것이 주요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온라인으로는 핫하지만 기존 백화점에는 찾아볼 수 없었던 마뗑킴,
그레일즈, 쿠어,
디스이즈네버댓과 같은 브랜드를 적극적으로 팝업스토어에 유치했고
BTS, 뉴진스, 슬램덩크에서 다나카까지 다양한 문화 콘텐츠 팝업스토어도 흥행가도를 달렸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