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이 전하는 이야기
어떤 뉴스레터인가요?
지역 곳곳의 이야기와 트렌디한 공간을 전하는 뉴스레터를 모았습니다. 우리 지역의 소식이 궁금하다면, 혹은 자주 오가는 장소에서 벗어나 새로운 공간을 발견하고 싶다면 오늘 소개하는 뉴스레터를 주목해보세요.
_____
SOSIC
발행일: 매주 월요일
<SOSIC>은 트렌디한 장소을 큐레이션하고 공간에 얽힌 다양한 맥락을 전하는 뉴스레터입니다.
구독자들이 생생한 공간 이야기를 받아볼 수 있도록 매주 세 가지의 소식을 전하고 있는데요. 이때 직접 공간에 방문해 촬영한 사진을 활용하여 구독자가 <SOSIC>이 제안하는 새로운 시선으로 공간을 바라볼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SOSIC>의 뉴스레터 아카이브 페이지
<SOSIC>은 자체 홈페이지를 통해 구독자를 모집하고 지난 뉴스레터를 아카이빙합니다. 이때 홈페이지를 통해서는 가장 최근에 발행된 뉴스레터를 볼 수 없는데요. 대신 구독과 동시에 최신 뉴스레터를 받을 수 있도록 자동 이메일을 활용합니다. 최신 뉴스레터를 보고 싶은 잠재 구독자를 대상으로 뉴스레터를 구독해야만 하는 이유를 만들어주는 것이죠.
지리산에서 온 편지
발행일: 둘째 주, 넷째 주 목요일
지리산에서 변화를 만들고 있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전하는 <지리산에서 온 편지>입니다. 뉴스레터에 담긴 구례, 남원, 산청, 하동, 함양 지역의 목소리는 대도시 중심의 관점에 환기가 되는 이야기를 전해줍니다.
<지리산에서 온 편지>의 푸터 영역
<지리산에서 온 편지>는 푸터에서 단순히 '후원하기'가 아니라 ‘후원으로 응원하기’ 그리고 '페이스북 보러 가기'가 아니라 ‘페북에서 활동 지켜보기’와 같은 문구를 활용합니다. 구독자의 행동을 적극적이지만 보다 친절한 방식으로 유도하고, 또 각 행동이 뉴스레터 발행인에게 어떤 힘이 되는지 설명하기 위해서 말이죠.
PAPER LOCAL
발행일: 매주 금요일
로컬 소식과 브랜드를 전하는 뉴스레터 <PAPER LOCAL>는 로컬 브랜드 제품을 비교해 소개하는 'Versus', 인터뷰를 중심으로 담당자가 큐레이션 한 콘텐츠를 전하는 'Random Box', 로컬 이슈를 클리핑해 전달하는 'Local Calendar' 세 가지 코너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PAPER LOCAL>이 신규 구독자와 가까워지기 위해 활용하는 두 가지 방법
뉴스레터를 발행하다 보면 구독자, 특히 신규 구독자들이 어떤 사람들인지 궁금해지곤 하는데요. <PAPER LOCAL>은 구독 폼에서 연령대와 지역 등을 수집하며 구독자를 파악하는 과정을 거칩니다. 이후에는 뉴스레터 하단에 새로운 구독자들의 이름을 불러주며 환영하는 코너를 통해 신규 구독자와 가까워질 수 있는 접점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픽제주 뉴스레터
발행일: 매주 수요일
풍성한 제주살이를 도와주는 <픽제주 뉴스레터>입니다. 제주도의 소식과 트렌드를 전하는 뉴스레터답게 제목과 본문 곳곳에서 제주 지역의 방언을 발견할 수 있는데요. 가령 '수눌음하게마씨'는 서로 도움을 주고받는 제주의 문화 '수눌음'에서 따온 코너로 구독자에게 도움이 될 소식을 전하는 역할을 합니다.
<픽제주 뉴스레터>의 '수눌음하게마씨' 코너
<픽제주 뉴스레터>는 뉴스레터에서 파생된 '카카오톡 구독자 수다방'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제주도에 거주하는, 혹은 거주하고 싶은 사람들을 한곳에 모으고 서로 도움을 얻어갈 수 있도록 자리를 마련해주는 것이죠. 제주도라는 지역을 중심으로 하나의 커뮤니티를 구축하는데 뉴스레터가 기반이 된 것입니다.
_____
이 콘텐츠는 매주 수요일 발행되는 스요레터를 통해 먼저 소개되었습니다. 마케팅 팁을 빠르게 받아보고 싶으신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