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트렌드
📣 Z세대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앱은
Z세대(1990년대 중반~2000년대 초반 출생) 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앱)은 '인스타그램'과 '트위터'인 것으로 조사됐다.
9일 앱 분석서비스 와이즈앱이 Z세대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이용률을 조사한 결과 지난달 인스타그램 이용자는 848만명으로 전년 동기(710만명) 대비 19%(138만명) 증가해 1위를 기록했다고 합니다. 지난달 사용 시간도 52억분으로 1년 전(38억분)보다 14억분 늘며 최대 증가세를 보였다고 하는데요.
트위터 이용자는 올해 10월 349만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85만명으로 64만명 늘었습니다. 지난해 10월 248만명이던 틱톡 이용자는 올해 274만명으로 26만명 증가했고 사용 시간 기준으로는 틱톡이 전년 동기 대비 8억분 증가하며 트위터(4억분)를 앞섰다고 합니다.
#미디어트렌드
📣 메타, 크리에이터 기능 업데이트
메타는 크리에이터가 브랜드로 성장할 수 있도록 페이스북 프로필 프로페셔널 모드를 선보이고 페이스북 릴스 기능을 업데이트 한다고 밝혔습니다.
메타에 따르면 이번 업데이트는 크리에이터가 프로페셔널 도구를 바탕으로 브랜드로서 새로운 팔로워와 연결되고 다양해진 페이스북 릴스 기능을 활용해 창의적이고 다양한 방면으로 소통할 수 있도록 하는데 집중했다고하는데요. 우선 메타는 페이스북 프로필 프로페셔널 모드를 선보이고, 크리에이터들이 다양한 이용자들에게 노출될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면서도 개인 계정은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고 합니다. 프로필 프로페셔널 모드는 다른 이용자들에게 크리에이터로서의 프로필을 소개할 수 있는 ‘디지털 크리에이터’ 카테고리를 생성해 설정할 수 있다고 하는데요. 프로페셔널 모드 설정 시 크리에이터는 전체 공개로 업로드된 콘텐츠를 통해 전 세계 팔로워들과 자유롭게 소통할 수 있으며, 개인 계정의 비공개 콘텐츠를 통해서는 가족 및 친구들과의 소통을 지속할 수 있습니다.
📣 카카오, ‘우리동네 단골시장 프로젝트’
카카오의 기업재단 카카오임팩트가 전통시장 소상공인의 디지털 전환과 소통을 돕는 ‘우리동네 단골시장’ 대상을 전국 전통시장 10곳으로 확대했습니다.
지난 4월 카카오는 소상공인 및 지역 파트너를 대상으로 5년간 총 1000억원의 상생 기금을 집행할 것이라 밝히며 소신을 가지고 사업을 운영하는 전국 상인들을 지원하는 ‘카카오 소신상인 프로젝트’를 시작했는데요. ‘우리동네 단골시장’은 소신상인 프로젝트 내에서 진행되는 사업 중 하나로, 카카오임팩트와 카카오, 소상공인진흥공단이 손잡고 전통시장 상인들의 디지털 전환을 돕기 위해 진행되는 프로그램입니다. 카카오임팩트는 지난 8월 29일부터 9월 23일까지 전국 시장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참가 신청을 받았으며, 접수 완료 후 심사 과정을 거쳐 총 10개 시장을 최종 선발했다고 합니다.
🌞'어제 아침'으로 되돌아가기>
📣 네이버 광고 개편도 진행형
📣 구글 '소비자 광고 통제권' 강화 서비스
📣 이마트24, MZ세대 겨냥 ‘게임앱’으로 모바일 앱 신규오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