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의 기획 상품
2022 숏폼 콘텐츠 🌊트렌드
지난 4월 발행된 🔗[🌽콘.스.프] #18에서 숏폼 콘텐츠에 대해 설명드린 적 있었는데요. 벌써 일 년 가까이 지나고 있는 이 시점에서 올 한 해를 뜨겁게 달궜던 숏폼 콘텐츠의 트렌드를 살펴볼까요?
💡 숏폼 콘텐츠란?
15초~1분 분량의 짧은 영상을 뜻하며, 최대 10분을 넘기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유튜브의 '쇼츠', 인스타그램(메타)의 '릴스', 틱톡 등이 대표적이다.
🤳🏼높아진 숏폼의 위상
(출처=유튜브)
올 1월부터 10월까지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최고 인기 크리에이터' TOP3에 오른 채널들의 공통점은 10분을 넘긴 영상이 없거나, 있더라도 2개 이하라는 점이죠.
📹 최고 인기 크리에이터 TOP3
숏박스와 너덜트는 2~6분대의 단편 개그 영상들을 핵심 콘텐츠로 하는 채널이에요. 1분요리 뚝딱이형의 경우 모든 영상이 쇼츠 형태로만 구성되어 있어요.
국내 스마트폰 이용자의 81% 이상이 사용한다는 유튜브에서 가장 영향력 있었던 크리에이터 TOP3가 모두 숏폼 콘텐츠를 위주로 한다는 점에서 숏폼의 인기를 실감할 수 있어요. 🔗틱톡에서 유행한 숏폼이 궁금하다면?
🎊마케팅도 숏폼 열풍~~
이렇듯 숏폼이 트렌드로 떠오르며 홍보 및 마케팅 과정에도 적극 활용되고 있습니다. 짧은 시간 안에 핵심 정보를 요약, 압축하여 보여줌으로써 주요 소비자층인 MZ세대의 관심을 유도하죠.
📍네이버의 월드컵 숏폼
140만 회 이상의 조회수를 기록한 황희찬 선수 영상(출처=네이버 월드컵 페이지)
네이버는 이번 카타르 월드컵의 중계권을 선점하고 별도의 페이지에 ‘숏폼’ 카테고리를 신설해 수백 개의 숏폼 콘텐츠를 업로드했어요. 가장 많은 조회수를 기록한 영상은 황희찬 선수의 포르투갈전 역전골 장면을 담은 영상이에요. 네이버 관계자는 숏폼 형태가 일반 월드컵 영상 대비 편당 평균 조회수가 약 2.6배 높은 편이라고 설명했어요.
📍동원F&B의 한호흡 챌린지
유튜브 ‘동원F&B’
동원F&B는 MZ세대를 겨냥해 지난 2019년부터 총 4회에 걸쳐 ‘맛의 대참치’ 캠페인을 진행해왔는데요. 조정석, 손나은, 펭수 등 인기 스타들이 출연해 유튜브 합산 조회수를 7,000만 회 이상 기록하며 역대 최대 매출을 달성했어요. 지난 7월 말에 공개된 안유진의 한호흡 챌린지는 현재까지 1,454만 조회수를 기록했는데요. 8월에는 공식 틱톡 채널을 통해 한 숨에 긴 문장을 틀리지 않고 말하는 ‘한숨한캠 챌린지’를 진행하며 흥행을 이어가기도 했습니다.
📍CU의 특이한 특채 선발
유튜브 ‘CU [씨유튜브]’
CU는 업계 최초로 유튜브 쇼츠 개그 서바이벌을 통해 BGF리테일 특채 코미디언을 선발할 예정이에요. 편의점 주 소비층인 MZ세대와의 접점을 넓히고 차별화 된 브랜드 이미지를 만들어가겠다는 전략입니다. 해당 콘텐츠는 틱톡과 인스타그램에서도 볼 수 있다고 해요.
😲이렇게도 적용 된다고?!
📍뉴스
이제는 언론사들도 숏폼 콘텐츠를 적극 활용하고 있어요. TV 시청을 거의 하지 않는 젊은 세대와의 소통을 위해 모바일을 적극 활용하고자 노력하는 움직임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유튜브 ‘JTBC News’
JTBC는 지난 9월부터 기자들의 실시간 취재 현장을 다루는 숏폼 콘텐츠인 ‘뉴쓱’을 틱톡, 인스타그램, 유튜브를 통해 선보이고 있어요.
올 하반기부터는 카카오와 네이버의 모바일 뉴스 탭 메인 화면에도 숏폼 섹션이 신설되었죠.
📍증권사
KB, 미래에셋, 현대차 증권 등 증권사에서도 숏폼 콘텐츠를 적극 활용 중이에요.
유튜브 ‘깨비증권 마블TV [KB증권]’
KB 증권은 유튜브 쇼츠를 활용해 미국 증시 종목이나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 등에 대한 기초 지식을 다루는 콘텐츠를 업로드해왔는데요. 지난 11월에는 올해 큰 인기를 얻었던 문상훈이 연금에 대해 강의하는 콘텐츠를 공개했어요. 3분이 채 안 되는 분량의 해당 콘텐츠는 2주 만에 130만 회 이상의 조회수를 기록했죠.
한편 지난 9월 유튜브는 내년부터 쇼츠를 통해 창출된 광고 수익의 일부를 제작자에게도 지급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어요. 숏폼 콘텐츠 분야 최초로 광고를 도입 하겠다는 유튜브의 계획은 세간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업계 1위인 틱톡을 따라잡을 수 있을지도 궁금해지네요.
다양한 분야에 적극 활용 되며 이제는 일상생활 전반에 스며 든 숏폼 콘텐츠! 앞으로의 파급력이 더더욱 기대 됩니다:)
문화편의점은 점주님들의 이야기가 듣고 싶어요. 여러분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 건의사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