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의 기획 상품
테크(Tech) + ? = ∞
‘무어의 법칙’ 들어보셨나요?
💡 무어의 법칙
’인텔’의 창립자 고든 무어(Gordon Moore)가 1965년에 발견한 관찰 결과로, 반도체에 집적하는 트렌지스터 수는 18개월마다 2배씩 증가하고, 가격은 절반으로 떨어진다는 내용이다.
항상 맞아 떨어진다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겠지만 기술이 놀라운 속도로 발전하고 있다는 사실은 변하지 않죠. 특히 올 한 해를 강타한 ’메타버스‘ 기술은 다양한 분야와 접목되며 무궁한 발전 가능성을 보여주었는데요. 최근에는 🔗2030년 메타버스 규모가 400조를 넘어설 것이라는 전망도 있었어요.
지난 🔗[콘.스.프] #28에서는 아트테크(예술 + 재테크)에 대해 다뤘는데요. 비단 메타버스 뿐만 아니라 다양한 테크(기술)가 빠르게 발전, 여러 분야와 결합하며 시너지를 보여주고 있어요.
💅🏻뷰티테크: 아모레퍼시픽의 혁신
화장품 즉, 뷰티 업계에서는 개개인의 피부 상태에 따라 맞춤형 제품을 제공하는 등의 '뷰티테크'가 주목 받고 있어요. 글로벌 리서치 기업 Forrester의 최근 연구에 따르면 소비자의 77%는 개인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브랜드를 선호한다고 해요. 뷰티테크를 통한 고객 맞춤 전략 및 제품의 비중이 점차 더 커질 것이라는 의미이기도 하죠.
(출처=아모레퍼시픽)
아모레퍼시픽은 매년 미국에서 개최되는 세계 최대 전자 전시회 CES에서 4년 연속 혁신상을 수상하고 있어요.
CES 2023 수상 기술 톤워크(왼쪽), 코스메칩(오른쪽)(출처=아모레퍼시픽)
내년 1월 개최될 🔗CES 2023의 로봇공학 부문 혁신상을 수상한 ‘톤워크’는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얼굴색을 정밀 측정한 뒤 로봇팔을 활용해 맞춤형 파운데이션, 쿠션, 립 제품 등을 제조해주는 기기입니다. 더불어 맞춤형 스킨케어 화장품 제조 기기인 ‘코스메칩’은 생활가전 부문에서 혁신상을 수상하기도 했어요. 모두 아모레퍼시픽에서 개발한 뷰티테크 기기입니다.
🏜️엔터테크: SM의 광야@서울
코로나19가 완화되면서 이번 상반기부터 콘서트를 재게하기 시작한 엔터테인먼트 4사(SM, YG, JYP, HYBE)의 3분기 합산 매출액이 역대 최대를 기록했어요. 특히 SM 엔터테인먼트(이하 SM)는 3분기 영업이익이 작년 동기간에 비해 3배 증가했어요.
한편 지난 11월 17일 SM은 플래그십 스토어 ‘광야@서울’(KWANGYA@SEOUL)을 오픈했어요. (🔗광야란?)
(출처=SM Entertainment)
성수에 위치한 스토어는 LG디스플레이와의 협업을 기반으로 메타버셜 익스피리언스 브랜드(Metaversal Experience Brand)를 실제 공간에 구현 했는데요.
💡 메타버셜 익스피리언스 브랜드(Metaversal Experience Brand)
현실과 가상의 경계 없이 문화를 즐길 수 있는 공간 등
위치기반기술을 이용한 스마트오더 기술은 물론, 방명록을 AR로 남길 수 있는 등 다양한 콘텐츠를 체험할 수 있어요. 또한 SM 아티스트의 IP 콘텐츠를 활용한 음반, 공식 굿즈 등 기획 상품 등도 함께 만날 수 있다고 합니다.
🌵식물&푸드테크: 반려식물과 환경을 생각하는 서비스
최근 반려동물보다 더 높은 화제성을 보여주기도 한 키워드는 바로 반려식물입니다!
'식집사'라는 말 들어보셨나요? 이른바 식테크(식물+재테크)가 각광
받고 있어요. 2021년 기준 반려식물 시장 규모는 무려 136조를 돌파했습니다. (🔗식테크로 연 2,000만원?!)
AI 기반 반려식물 관리 앱 ‘그레그’(🔗클릭하여 더 알아보기)
최근에는 인공지능(AI)이 반려식물의 상태를 비대면으로 파악해 관리해주는 서비스가 개발되어 처음 보는 식물도 쉽게 키울 수 있게 되었죠.
경기도농업기술원은 몇 년 전부터 🔗'사이버 식물병원'이라는 플랫폼을 운영하고 있어요. 식물 사진과 증상을 의뢰하면 전문가들이 관리 방법과 의견을 제안합니다. 올해만 64만명 이상이 사이트를 방문했어요.
'누비랩'의 음식 종류 구분 및 음식량을 측정 기술(🔗클릭하여 더 알아보기)
식테크와 비슷한 개념인 푸드테크 관련 스타트업도 등장하기 시작했어요. '누비랩'은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학교 급식의 남은 반찬을 파악하는 등 음식물 쓰레기를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서비스를 제공해요. 누비랩 김대푼 대표는 '식재료비 절감에도 도움이 된다'고 말했죠. 환경에도 도움이 되는 푸드테크가 아닐까 싶네요!
문화편의점은 점주님들의 이야기가 듣고 싶어요. 여러분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 건의사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