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시대의 시선

디지털 시대에 '옛 것'이 살아남는 법

곽팀장

2020.02.18 17:43
  • 2014
  • 콘텐츠에 ‘좋아’해줘서 고마워요 -
    0
  • 1

예능 프로그램 미스터트롯이 매 회 종편 최고 시청률을 경신하면서 흥행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성공 요인으로는 참여자들의 수려한 외모와 실력, 숨겨진 명곡들과 투명한 심사과정이 꼽힙니다. 특히 임영웅 참가자가 부른 '일편단심 민들레야' 무대 영상은 유튜브 인기 영상 상위 랭크에 올랐고, 매 방송 회차의 클립 영상들은 4050 세대의 팬심을 토대로 디지털에서 큰 호응을 얻고 있습니다. 이는 최근 유튜브 등 디지털 플랫폼에서부터 인기 콘텐츠가 확산되었던 양상과 반대된 흐름으로, 콘텐츠의 경쟁력만 있다면 레거시 미디어의 파워도 얼마든지 아직 유효하다는 것을 증명했습니다. 

 

유튜브로 대표되는 디지털 문화는 그동안 사회 전반에 파생되어 트렌드와 대세로 자리 잡았습니다. 워크맨, 펭수 등 인기 콘텐츠들이 가진 화제성과 폭발력은 신드롬이라고 할 만큼 영향력이 컸고, 단 몇 초의 공백도 허락하지 않는 빠른 호흡과 치열한 편집의 콘텐츠에 시청자들은 열광했습니다. 그래서인지 디지털 콘텐츠와 유튜브 문화는 Z세대와 밀레니얼의 전유물처럼 여겨지고는 했습니다.

 

 

 

출처: TV조선


 

하지만 미스터트롯 신드롬에서 드러난 '옛 것의 반란'은 반드시 빠르고 치열한 콘텐츠가 아니어도 과거에 소비되고 지나간 것들 또한 얼마든지 새롭게 인식되고 수용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줍니다. 2019년의 탑골공원 열풍도 '모든 지나간 것이 반드시 촌스러운 것은 아니다'라는 명제를 남겼고, 오히려 과호흡 증후군에 시달리는 유튜브 콘텐츠와 치열한 구독 경쟁 문화에서 한 걸음 벗어나 시청자들은 한 템포 쉬어 갈 수 있는 여유와 콘텐츠적 다양성을 원하는 것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최근에 나는 자연인이다, 한국인의 밥상, 동네 한 바퀴와 같은 느린 호흡의 콘텐츠들이 되려 젊은 세대에게 더 많이 사랑받는 이유도 이러한 '콘텐츠 회귀현상'의 한 흐름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출처: KBS

 

지난해 KBS에서는 <씨름의 희열>이라는 씨름 예능을 론칭했습니다. 씨름을 마지막으로 본 건 일요일 낮에 목욕탕에 있는 TV를 통해서 한 번씩 흘겨봤던 기억뿐입니다. 그런데 젊은 꽃미남 선수들이 오디션 프로그램처럼 각자만의 캐릭터를 뽐내며 승부를 겨루는 2020년의 씨름 한 판은, 매 회 차 최고 시청률을 갱신해가며 가장 새롭고 신선한 스포츠 오디션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씨름을 모르던 세대들은 씨름판 앞에 앉았고 선수들은 아이돌 못지않은 인기를 누리고 있습니다.

 

 

 

 

 

 

 

얼마 전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격투 게임처럼 맞으면 에너지가 닳는 태권도 대회도 화제였습니다. 대중들에게 '발펜싱'이라는 조롱을 단숨에 '갓게임'이라는 호칭으로 바꿔 놓은 이 대회는 파워 태권도 프리미엄리그로 선수들의 몸에 디지털 센서를 접목해 화면과 연동되도록 했습니다. 그동안 태권도는 잦은 룰 변경과 소극적인 경기 양상으로 재미없는 스포츠로 인식돼 왔으며, 국내 팬들도 외면하는 실정이었습니다. 그런데 디지털 기술의 접목을 통해 마치 관람객이 게임을 즐기는 플레이어가 된 듯한 생동감 있는 스포츠로 재탄생해 태권도의 부활을 기대하게 했습니다.

 

 

 

  

 

 

핵심은, 옛 것을 새로이 인식하는 것입니다. 

레트로와 뉴트로, 모두 완전히 새로운 것은 아니듯이 익숙함을 기반으로 새로운 코드를 더하는 문화적 업사이클링, '재생형 문화'라고도 부를 수 있습니다.

만약 미스터트롯에서 트로트 4대 천왕 태진아, 송대관, 현철, 설운도가 경연을 했다면 어땠을까요?  황제라 불리는 그들이지만 채널을 돌리다 나오는 지역 민방 예능 정도로 끝났을지도 모릅니다. 

'오래된 알맹이'에 '새로운 형식'을 더했기 때문에 새롭게 느껴졌고, 흥행에 성공할 수 있었습니다. 결국 대중들이 TV를 떠난 이유도, TV 앞으로 되돌아온 이유도 새로움을 추구하기 때문이었습니다. 유튜브냐 TV냐, 플랫폼 때문이 아니라 참신한 콘텐츠라면 대중들은 반드시 반응한다는 것입니다.

 

그동안 디지털 콘텐츠와 문화는 끊임없이 새로운 포맷을 추구하면서 빠른 템포로만 흘러왔습니다.이색적이고 자극적인 콘텐츠들이 사랑받았으며 모든 콘텐츠가 성공한 포맷만을 뒤쫓아 갔습니다. 하지만 '차면 기운다'라는 말처럼 한 치의 빈틈도 허용하지 않는 치열함 속에서 대중은 숨 쉴 틈을 찾고 있었는지도 모릅니다. 그래서 유튜브 구독 피드를 의미 없이 스크롤 하다 TV 앞에 앉았습니다. 여전히 유튜브가 새로운 자극이자 재미는 맞지만, '유튜브스럽다', '믿고 거르는 유튜브'라는 말처럼 트렌드와 유행이라는 미명 아래 다시 획일화되고 있는 디지털 생태계를 한 번쯤 돌아보게 됩니다.

 

 

물이 고이면 물고기들은 떠나가기 마련입니다. 그렇게 지금의 디지털 생태계도 탄생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과연 누가 고인물인지, 대중들에게 사랑받는 옛 것들이 디지털에게 묻고 있습니다.

지나간 것은 지나간 대로 의미를 찾고, 새로운 것은 새로움을 잃어가는 디지털 시대의 시선이었습니다.

 

 

이 글이 유익하거나 도움이 되셨다면? 

<곽팀장 브런치>를 구독하고 더 많은 정보를 확인해보세요!

마케팅, 조직문화, 직장인 고민은 <곽팀장 유튜브>에서 나눠요!



  • #곽팀장
  • #미스터트롯
  • #씨름예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