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렌드모니터의 매거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불안감이 바꿔 놓은 일상생활의 풍경

트렌드모니터

2020.02.11 18:20
  • 1621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불안감이 바꿔 놓은 일상생활의 풍경

일상생활 및 소비생활에 상당한 영향 끼치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전체 66.2%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해 모임 빈도가 줄어들 것 같다”

외출 시 대중교통 이용 줄이고, 자가 운전 이용 증가할 것으로 예상돼

또한 집에서의 활동과 온라인 쇼핑몰의 이용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돼

2015년 메르스 사태 때보다 정부의 대응에 신뢰를 보내는 듯한 모습

“우리나라는 안전하다”는 인식(15년 21.3%→20년 47.5%) 증가해

 

 

전체 66.2%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해 모임 빈도가 줄어들 것 같다”

 

시장조사전문기업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trendmonitor.co.kr)가 전국 만 19세~59세 성인 남녀 2,000명을 대상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과 관련한 인식 조사를 실시한 결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확산이 일상생활 및 소비생활에 상당한 영향을 끼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무엇보다 외부 활동을 자제하려는 사람들이 많은 모습이었다. 우선 전체 응답자의 66.2%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발생 이후 저녁 술자리나 모임의 빈도가 줄어들 것 같다고 바라봤다. 전염병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만큼 여럿이 모이는 자리를 피하려는 태도가 강한 것으로, 여성(남성 61.5%, 여성 70.9%)과 중장년층(20대 58.6%, 30대 63.4%, 40대 68.4%, 50대 74.4%)이 외부 모임을 줄이려는 태도가 더욱 뚜렷해 보였다. 2명 중 1명(50.1%)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발생으로 다른 사람과 함께 음식을 먹는 것에 거부감이 생길 것 같다고 말하기도 했다. 

 

반면 외식이 늘어날 것 같다고 말하는 소비자는 3.4%에 불과했는데, 이는 2015년 메르스 사태 때(19.3%)보다도 줄어든 결과이다. 과거의 학습효과로 인해 대중들의 경계심이 더욱 커졌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찜질방 및 온천 이용 감소(73.8%)와 대중목욕탕 이용 감소(71.7%)도 쉽게 예상해볼 수 있었다. 여행에 대한 니즈도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발생 이후 ‘여행’이 늘어날 것 같다고 말하는 소비자(3.5%)를 찾아보기 어려운 것이다. 역시 2015년 메르스 사태 당시(31.4%)보다 훨씬 줄어든 결과로, 그만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전세계적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는 두려움이 크다고 볼 수 있다. 발생률이 낮은 곳으로의 해외여행이 늘어날 것 같다는 응답(18.1%)도 소수에 그쳤다.

 

 

62.2% “가족과 집에서 보내는 시간 많아질 것 같다”

62.1% “인터넷 쇼핑몰 방문이 늘어날 것 같다”

 

이렇게 외부활동 및 여가활동을 줄이는 대신 ‘집’에서의 활동이 늘어날 것으로 보여졌다. 전체 응답자의 62.2%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발생으로 가족과 집에서 보내는 시간이 많아질 것 같다고 응답한 것으로, 특히 여성(남성 58.2%, 여성 66.2%) 및 중장년층(20대 58.4%, 30대 59.2%, 40대 65.4%, 50대 65.8%)이 집에서 시간을 많이 보내려고 하는 태도가 강한 편이었다. 또한 집에서 직접 요리를 해 먹는 일이 많아지고(61.2%), 청결한 주거공간에 대한 관심이 늘어날 것 같다(68.8%)는데 대부분 공감하는 모습이었다. 다만 배달음식 주문의 증가에 대해서는 의견(동의 37.1%, 비동의 33.9%)이 다소 엇갈렸다. 전반적으로 외부활동을 자제하고, 집에서 머무는 시간이 많은 만큼 ‘온라인 쇼핑’의 비중이 더욱 높아질 것이라는 전망은 어렵지 않아 보인다. 소비자 10명 중 6명(62.1%)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발생 이후 인터넷 쇼핑몰 방문이 늘어날 것 같다고 응답한 것으로, 모든 연령대에서 비슷한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이와 더불어 TV홈쇼핑 이용이 증가할 것 같다고 바라보는 소비자(동의 41.3%, 비동의 29.9%)도 많은 편이었다. 반면 대형마트 방문 증가(4.8%)와 백화점 방문 증가(3.1%), 재래시장 방문 증가(3%)를 예상하는 소비자는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나, 향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더욱 확산될 경우 오프라인 소비활동의 침체가 장기화될 것이라는 예상을 해볼 수 있었다.

 

 


 

 

2015년 메르스 사태 때보다 정부의 대응에 신뢰를 보내는 모습

 

한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점차 확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2015년 메르스 사태 때보다는 정부의 대응에 믿음을 가지고 지켜보는 사람들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전체 응답자의 23%만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진행 상황과 관련한 정부의 발표에 불신이 생겼다고 응답한 것으로, 절반 가까이(49.8%)는 이에 동의하지 않는 모습이었다. 2015년 메르스 사태 당시 10명 중 7명(69.8%)이 정부 발표에 불신이 생겼다고 응답한 것과는 매우 대조적인 결과이다. 물론 정부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대응이 못미더운 부분도 있겠지만, 적어도 2015년 메르스 사태 때처럼 비판적인 태도가 크지는 않은 것이다. 또한 정부의 대응을 보면서 국민과 소통을 원활하게 한다는 생각이 들고(15년 7.4%→20년 31.6%), 정부의 발표에 진정성을 느꼈다(15년 5.3%→20년 31.4%)고 말하는 사람들도 2015년보다는 훨씬 많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렇지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대응하는 정부에 대해 믿음이 생겼다(28.4%)은 의견이 적고, 의구심을 갖는 시각도 많은 만큼 보다 적절하고, 적극적인 정부의 대응이 필요할 것으로 보여진다. 젊은 층일수록 정부의 대응을 못미더워하는 태도도 눈에 띄었다.

 

 


 

 

공공기관에 대한 태도 역시 2015년보다는 긍정적으로 평가돼

 

질병관리본부로 대표되는 ‘공공기관’에 대한 신뢰도 역시 2015년 메르스 사태 때보다는 높아진 모습이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사태가 발생한 이후 공공기관에 대한 신뢰가 생겼다는 응답(15년 4.7%→20년 20.2%)은 증가한 반면 불신이 생겼다는 응답(15년 58.5%→20년 23.5%)은 크게 감소한 것이다. 여전히 신뢰도가 높다고는 말할 수 없지만, 이전 메르스 사태를 반면교사 삼아 방역당국이 어느 정도 잘 대처해 나가고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다는 해석을 가능케 한다. 다만 공공기관이 하는 일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훨씬 높아진(15년 21.5%→20년 45.3%)만큼 사태가 해결이 될 때까지 더욱 철저하고, 투명한 관리 및 대응이 계속해서 이뤄져야만 할 것으로 보여진다. 한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관련 뉴스를 보도하는 미디어에 대한 신뢰도는 낮은 수준이었다. 10명 중 1명(12.9%)만이 미디어에 대한 믿음이 생겼다고 응답한 것으로, 성별과 연령에 관계 없이 비슷한 태도를 보였다. 그래도 2015년 메르스 사태 당시보다는 미디어에 대한 신뢰(15년 5.8%→20년 12.9%) 역시 조금은 높아진 편이었다.

 

 

“우리나라는 안전하다”는 인식(15년 21.3%→20년 47.5%) 증가해

75.1% “안전문제에서 소외될 수 있는 취약계층을 배려해야”

 

한편 과거보다 한국사회를 안전하다고 느끼는 사람들이 많아진 것은 긍정적으로 평가할만한 부분이었다. 전체 절반 가량(47.5%)이 우리나라는 안전한 국가라는데 동의했는데, 2015년 조사와 비교했을 때 우리나라는 안전하다는 인식(15년 21.3%→20년 47.5%)이 두 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2014년 세월호 참사와 2015년 메르스 사태로 인해 한 때 국가와 사회에 대한 신뢰가 바닥을 쳤으나, 이후 사회안전망에 대한 신뢰가 조금씩 회복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여전히 안전사고가 발생했을 때 그 책임에 대한 처벌이 잘 이뤄진다고 바라보는 시각(11.4%)이 매우 적다는 점에서, 안전사고와 관련한 보다 강력한 처벌 및 규제가 필요해 보인다.

 

특히 안전문제는 국가가 책임을 져야 하는 문제라는 인식(70.9%)이 개인이 책임져야 하는 문제라는 인식(28.8%)보다 훨씬 크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될 것이다. 이와 더불어 안전문제에서 소외될 수 있는 사회적 취약계층에 대한 배려가 신속하게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75.1%)도 유념해야 할 필요가 있다. 소비자 개개인의 안전의식은 높은 수준으로 평가되었다. 대다수가 경제성장보다 중요한 것은 안전한 사회가 되는 것이며(67.5%), 안전한 제품을 구매하기 위해 조금 비싼 제품이라도 구입할 용의가 있다(68.3%)는 입장을 표명한 것으로, 이런 인식은 연령에 관계 없이 비슷했다.

 

 

본 조사는 특정 기업의 의뢰 없이 엠브레인의 컨텐츠사업부(트렌드모니터)의 자체 기획 및 자체 비용으로 진행되었습니다.

  • #신종코로나바이러스

추천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