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 인사이트

세대별 검색 인사이트로 본 2025 트렌드 리포트

2025.10.17 08:50
1893
1
0
  • 한눈에 보는 핵심요약
  • 세대별로 다르게 나타나는 검색 인사이트, 핫 키워드로 분 -기소비 문화 전반에서 특정 산업, 그리고 개별 아이템에 이르기까지 2025년 상반기, 검색 데이터 속에 포착된 ‘트렌드의 방향’을 함께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1. 들어가며검색 데이터가 말하는 세대의 흐름

다가오는 2026, 우리는 어떤 키워드와 관심사를 중심으로 변화에 대응해야 할까?

 

검색 데이터는 단순한 정보 탐색을 넘어 , 소비자의 생활 속 인텐트 (Intent)’ 를 가장 명확하게 드러내는 신호를 담고 있다 . 사람들은 무언가를 알고 싶을 때 , 필요를 해결하고자 할 때 , 또는 새로운 자극을 받을 때 검색을 시작한다 .
이러한 검색 데이터는 곧 소비자의 관심사, 문제의식, 그리고 브랜드와의 최초 접점 을 보여주는 행동의 언어 라고 할 수 있다 .

 

본 리포트는 2025 1월부터 8월까지의 검색 데이터를 기반으로, 10대부터 50대까지의 세대별 관심사 변화를 분석했다. 소비문화 전반에서 특정 산업·아이템으로 이어지는 데이터의 흐름 속에서, 2026년 소비 트렌드와 브랜드의 방향성을 함께 제시하고자 한다.

 

2. 글로벌로 확장되는 K-콘텐츠의 진화

케이스: ‘케이팝 데몬 헌터스검색 데이터 인사이트

출처 : 리스닝마인드 인텐트파인더 – ‘케이팝데몬헌터스’ 관련 키워드 3개 입력 결과

출처 : 미국(US) 검색 결과

 

2025 년 여름, 가장 뜨거운 미디어 콘텐츠로 꼽힌 작품은 단연 **‘케이팝 데몬 헌터스’**였다.
리스닝마인드 인텐트파인더 분석 결과 , 국내 관련 검색량은 월평균 740 만 회 , 미국에서는 관련 토픽 수는 적었지만 총 검색량은 한국 대비 3.5 배 이상으로 나타났다 .

 

성별별 검색 분포에서는 여성의 검색량이 남성 대비 2.3 ,
연령대별로는 10 > 40 > 20 대 순으로 폭넓은 관심이 확인되었다 .

 

2025 6~8월 기준 국내 월평균 검색량 TOP5

  1. 케이팝 데몬 헌터스 — 2,986,266
  2. 케데헌 — 942,410
  3. 케이팝 데몬 헌터스 ost — 360,403
  4. 케이팝 데몬 헌터스 출연진 — 232,170
  5. 케이팝 데몬 헌터스 노래 — 188,130

흥미로운 점은콘텐츠에서브랜드로의 자연스러운 확산이었다.

 


하나의 예시로 농심의 케데헌 라면 콜라보는 8 월 론칭과 함께 검색량이 급등하며 소비자들의 자발적 정보 탐색이 활발히 이루어졌다 .
농심 케데헌 ’, ‘ 케데헌 농심 ’, ‘ 농심 케데헌 콜라보 등 유사 키워드의 동시 확산은 브랜드 협업이 인지 탐색 구매 의 검색 여정에서 강력한 영향력을 가졌음을 보여준다 .

 

3. 세대별러닝(Running)’ 열풍운동 그 이상의 문화

출처 : 리스닝마인드 인텐트파인더 – ‘런/런닝/러닝’ 연관 키워드 입력 결과

 

최근 2 년간 급성장한 러닝 은 단순한 운동을 넘어 라이프스타일 콘텐츠로 확장되고 있다 .
검색 데이터를 통해 국내 러닝 시장의 규모를 살펴보면 ,
연간 총 검색량 약 7,200 만 회 ,
최근 3 개월 기준 월평균 770 만 회로 , 지속적인 성장세를 유지 중이다 .

 

성별 차이는 미미하나 , 연령별로는 30 > 20 > 40 대 순으로 활발했으며 ,
이는 30 대를 주축으로 20 , 40 대까지 대중적 스포츠 문화로 자리 잡았음을 보여준다 .

 

2025 6~8월 기준 러닝 관련 키워드 TOP5 

  1. 디즈니런 / 디즈니런 서울 2025 — 208,366 / 130,463
  2. 온러닝 — 203,633
  3. 러닝 — 90,473
  4. 러닝 갤러리 — 80,993
  5. 러닝화 — 77,500

 

연령별 러닝 관련 관심 키워드 특성

출처 : 리스닝마인드 인텐트파인더 – ‘런/런닝/러닝’ 키워드 입력 결과중 각 ‘연령별 특성 키워드’ 필터 후 확인한 토픽 내용.

 * ‘런‘, ‘러닝‘, ‘런닝‘ 토픽 제외

 

  • 20: 나이트런, 빵빵런 등 이벤트형 키워드 중심브랜드/이벤트 참여와 경험의 러닝으로 입문한 세대
  • 30: 디즈니런, 마블런, 아이템(선글라스, 벨트 등) — 이벤트 요소부터 아이템까지 전반을 소비, 리딩하는 세대
  • 40: 운동복, 모자, 런닝화 등 실용 중심 — ‘건강 관리형 러닝에 집중한 세대

위와 같이 세대별 다르게 나타나는 러닝 관련 토픽 데이터를 기반으로, 브랜드의 경우 세대별 세그먼트에 맞춘 커뮤니케이션 설계를 시도해볼 수 있다.

 

4. 실버 세대의 건강 키워드 변화 — ‘NMN’ 다음은알부민

2025년 상반기 이후, 실버세대 건강 키워드 중 가장 두드러진 상승세를 보인 것은 **‘알부민’**이었다. ‘알부민관련 키워드의 월평균 검색량은 18만 회 이상으로, ‘효능영양제키워드가 상위를 차지했다.

 

출처 : 리스닝마인드 인텐트파인더 – ‘알부민’ 키워드 입력 결과

 

2025년 기준 알부민 관련 월평균 검색량 TOP5

  • 알부민 — 181,233
  • 알부민 효능 — 122,180
  • 알부민 영양제 — 51,580
  • 알부민 가격 — 16,143
  • 알부민 부작용 — 13,493

검색량은 6월 이후 뚜렷한 상승세를 보였으며, 이 시기 특정 브랜드의 런칭 및 미디어 노출과 시점이 맞물린 것으로 추정된다. (각 키워드의 검색결과 페이지에 노출되는 콘텐츠 기반으로 추정)

 

검색 경로 변화 분석 (‘알부민 추천’)

출처 : 리스닝마인드 패스파인더 – ‘알부민 추천’ 중 과거/현재 비교(3개월)

 

리스닝마인드 패스파인더 분석 결과, 2025 5월 대비 8월 검색 경로에는 두 가지 변화가 나타났다.

  1. 효능·성분 중심의 탐색 확대
    • 알부민 효능, 간 기능 개선, 부작용등 세부 탐색 강화
  2. 제품 구매·의료용 탐색의 증가
    • 알부민 주사, 알부민 수액, 약국 판매처등 구체적 구입 의도

 

이는 단순한 건강보조식품 정보 탐색에서 의학적 효능·치료 보조제로 인식이 확장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실버 세대의 건강 트렌드는 기능성 중심으로 이동하고 있으며, 브랜드는의학적 신뢰일상적 접근성을 병행하는 전략이 요구된다.

 

5. 결론세대별 검색 데이터로 읽는 2026 소비 방향
같은 카테고리의 키워드라도 , 세대별로 검색의 강도 · 키워드 워딩 등이 다르게 나타난다 .
이 차이는 곧 세대별 인지 및 관심도의 차이 이며 , 브랜드가 소비자를 세밀하게 이해하고 세그먼트를 설계하는데 도움이 된다 .

 

리스닝마인드는 검색 데이터 기반으로 이러한 소비자 인텐트(intent)의 맥락을 구조적으로 분석해브랜드 전략·상품 기획·마케팅 커뮤니케이션에 실질적 인사이트를 제공한다.


세대별 검색 인사이트를 담은 트렌드 리포트 내용 전체 내용은 아래 다운로드 받기 버튼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 [리포트 다운로드 받기]

 

 

 

 

 

#리스닝마인드 #트렌드리포트 #검색데이터 #인텐트데이터 #인텐트데이터리포트
이 글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서로의 생각을 공유할수록 인사이트가 커집니다.

    추천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