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케팅 사례

🍽️ 단순 먹방은 끝났다. 'K-푸드' 이렇게 진화했습니다

2025.08.20 09:23
187
0
0
  • 한눈에 보는 핵심요약
  • 먹방은 가라, 이제 'OO'을 중심으로한 K-푸드 콘텐츠 전략이 뜬다 👀

 


 

최근 K-푸드는 그냥 한식 그 이상을 넘어서고 있죠. 세계 식문화 트렌드 한가운데에 '재료', '비주얼', '커스터마이징', '스토리텔링'이라는 키워드로 포지셔닝되고 있는데요. 이 변화의 중심에는 글로벌 인플루언서와 숏폼 콘텐츠가 있습니다. 

 

특히 한국의 일상적인 K-푸드가 글로벌에서 ‘창조적 레시피’로 각색되며, 한식에 대한 관심을 이끄는 인플루언서 마케팅 트렌드가 새롭게 부상 중으로 소개하고자 합니다. 

 

 

 

1. 한국인은 모르는 K-푸드? '만드는 것'으로 변화하는 트렌드

 

고추장 버터

 이미지 출처 : 뉴스기사 

 

2025년 현재, K-푸드는 단순한 음식 트렌드를 넘어 전 세계 식문화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K-콘텐츠와 함께 K-푸드는 수출, 현지화, 콘텐츠화에 성공하며 브랜드와 인플루언서 모두에게 ‘지속가능한 성장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특히 ‘먹방’, ‘레시피 영상’, ‘푸드 리뷰’ 등의 콘텐츠를 중심으로, 소셜 미디어 인플루언서들이 K-푸드의 확산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최근에는 단순히 '먹는 것'을 넘어서 '만드는 것'에 초점을 두는 트렌드가 이어지고 있어 소개하고자 합니다. 

 

예를 들어, 고추장버터, 꿀떡 시리얼 같은 K-푸드 콘텐츠가 해외에서 먼저 인기를 끌고, 국내로 역수입되는 흐름이 나타나고 있어요. 

  • 고추장버터는 뉴욕타임스 인기 레시피 50선에 오를 만큼 미국 요리 콘텐츠 크리에이터들에게 뜨거운 주목을 받고 있고,고추장버터 스테이크, 버터 파스타 등의 콘텐츠가 유튜브에서 수백만 조회수를 기록 중입니다. 

  •  

  • 꿀떡 시리얼은 외국 틱톡커가 개발한 레시피로, 떡을 우유에 말아 먹는 ‘K-버블티’ 같은 디저트 콘텐츠로 인기를 끌고 있어요.

  •  

위의 사례처럼 한국 식재료를 바탕으로 외국인의 새로운 시각에서 재해석된 K-푸드가 숏폼 플랫폼을 통해 확산되며, 오히려 한국으로 역수입되는 신개념 바이럴 현상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처럼 K-푸드는 국가의 경계를 넘어, 콘텐츠를 통해 자유롭게 레시피가 창조·변형·유통되며, 다시 역수입되기도 하고 수출되기도 하면서 다양한 글로벌 트렌드를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2. 🍽 2025년, K-푸드가 만드는 ‘글로벌 콘텐츠 플레이북’

 

스크린샷 2025-08-08 오전 9.54.54

 이미지 출처 : 뉴스기사

 

‘편의점 조합’ 중심의 트렌드도 주목할 만합니다. 최근 한국을 찾는 외국인들이 여행 중 가장 먼저 방문하는 장소로 편의점을 꼽고 있는데요, 이들은 제품 하나만 구매해 먹는 것이 아니라, 틱톡(TikTok)에서 본 레시피를 직접 재현하며 ‘조합 먹방’을 즐깁니다.

 

이처럼 단순한 제품 리뷰를 넘어, ‘조합하는 과정’ 자체가 콘텐츠가 되는 흐름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실제로 제주 녹차 파우더에 딸기맛 우유를 섞은 ‘스트로베리 말차 음료’가 화제를 모았고, 바나나맛 우유에 커피를 섞은 레시피도 틱톡에서 폭발적인 반응을 얻었습니다.

 

👉 POINT : ‘조합하고 만들어나가는 경험'을 공유하는 트렌드 

 

이처럼 외국인 인플루언서들이 자발적으로 만들어낸 ‘편의점 조합’은 K-푸드의 숨겨진 가능성을 새로운 포맷으로 드러내고 있습니다. 이들은 단순히 먹방이나 음식 소개를 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조합을 시도하고 완성해 나가는 ‘경험’ 자체를 공유하는 데 의미를 둡니다.

 

이러한 ‘조합’과 ‘비주얼’을 강조한 인플루언서 마케팅 방식을 활용한다면, 외국인들에게 K-푸드를 효과적으로 알릴 수 있는 일종의 플레이북을 만들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결국, 이런 조합 경험을 통해 형성된 K-푸드의 긍정적인 이미지는 다시 콘텐츠로 확산되며 선순환 구조를 만들 수 있습니다. 글로벌과 국내의 경계 없이, 콘텐츠를 통해 확장되는 K-푸드의 미래가 더욱 기대됩니다.

 

3. F&B 브랜드 성공 사례 - CJ 제일제당 고메 소바바 치킨 캠페인 

이미지 출처 : 틱톡 채널 @milk_eating, 인스타그램 heewon_home

 

피처링에서 진행한 CJ 제일제당의 고메 소바바치킨 캠페인은 인스타그램, 유튜브, 틱톡 등 다양한 플랫폼에서 제품의 노출을 최대화할 수 있는 인플루언서를 피처링 데이터를 통해 선별하여 콘텐츠를 제작했습니다. 

 

또한 소바바치킨의 장점인 바삭한 소리를 소구 할 수 있는 'ASMR' 인플루언서와 협업하기도 하고, 위에서 전달한 인사이트처럼 제품을 다양한 조합으로 하나의 '성공 플레이북' 처럼 전달 할 수 있도록 '레시피' 위주의 인플루언서도 섭외하였습니다. 이처럼 다양한 카테고리의 인플루언서 섭외를 통해 다양한 잠재 고객에게 도달할 수 있었습니다.

 

이렇게 다양한 카테고리의 잠재 고객을 아우를 수 있는 콘텐츠를 온라인 매체 광고 소재로 활용하고, 매체별 개인화 광고 노출을 통해 전환 기여까지 자연스럽게 연결하여 자사몰의 유입을 늘릴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광고 성과는 틱톡 포 비즈니스 (TikTok for business)에 Best 성과 사례로도 소개되어 좋은 전환으로 이어질 수 있었습니다.

     

  • 캠페인 성과

  •  

    • 누적 콘텐츠 수: 91건 

    • 누적 조회수 : 760만 + 

    • 누적 인게이지먼트 : 44만+ 

     

  • Tiktok 광고 성과

     

    • 틱톡 Smart+ Web camplaign ROAS 1,022% 

    • Smart+ Web 전환 CTR 22.4% (식음료 업계 25년 1Q 기준 대비 +611%) 

    • 숏폼 콘텐츠를 기반으로 널리 퍼지고 있는 F&B의 최신 트렌드를 알아봤는데요. 피처링에서 키워드 기반, 그리고 숏폼 영향력 기반으로 뜨고 있는 핫한 숏폼 인플루언서를 찾아보세요! 

 

뜨고 있는 핫한 F&B 인플루언서 찾으러가기

Part 02 _ 피처링 인플루언서 PICK-May-08-2025-11-35-23-3041-PM인플루언서 리스트 공유 배너

 

피처링에 인플루언서 링크 공유 기능 🔗 이 새로 생긴 것 다들 알고 계신가요? 앞으로 추천 인플루언서를 해당 방식으로 전달드릴게요!


✔️ 해당 링크를 활용하면 에이전시/종합 광고 대행사들도 편리하게 광고주에게 엑셀 형식으로 전달드렸던 인플루언서 리스트를 편리하게 공유하실 수 있어요 👀 

✔️ 오늘은 '지금 주목해야 하는 F&B 인플루언서' 리스트를 전달드립니다 

 

 피처링이 데이터로 선별한 인플루언서 리스트 보러가기 

 


 

1️⃣ 더 협업에 강해졌다 ‼️ 피처링 '인플루언서 관리 정보' 개편 

 

Info Image (1)

 

인플루언서 계정명/계정 영역을 누르면 피처링 서비스 내에서 인플루언서의 모든 히스토리 확인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더욱더 팀원들 간의 협업과 인플루언서 히스토리 관리가 간편해졌어요! 

 

✔️ 이런 것들을 확인하실 수 있어요

 

간단한 인플루언서 프로필 정보

- 인플루언서가 저장된 그룹 (인플루언서 관리) 

- 인플루언서가 배정된 캠페인 (캠페인 관리) 

- 인플루언서가 담긴 발송 리스트와 메시지 이력 (DM/이메일 발송) 

- 인플루언서와의 협업 이력 

 

✔️ 이제 '이 인플루언서 협업 한 적 있었나..?' 고민하지 마세요! 

이제 해당 인플루언서 계정이 워크스페이스 내 어떻게 관리되고 있는지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인플루언서랑 어떤 캠페인을 진행했었지? 🤔 

- 그때 캠페인 단가가 어땠더라? 

- 협업 한적 있는데 어떤 계정으로 DM/이메일 발송 보냈지? 

- 팀원들이 이 인플루언서 관련해서 어떤 정보를 넣고 고쳤지? 

 

팀원들 간의 인플루언서 퀄리티 체크와 협업 경험을 알기 위해 진행했던 불필요한 커뮤니케이션을 확실하게 줄일 수 있습니다. 팀원간의 협업이 쉬워지는 것을 경험해 보세요

 

 

 지금 바로 써보러가기

 

#인플루언서마케팅 #유튜브마케팅 #먹방 #K-푸드
이 글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서로의 생각을 공유할수록 인사이트가 커집니다.

    추천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