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기술 트렌드

25년 상반기 최신 AI 앱 동향: 챗봇, 번역, 기록, 아바타, 사진 보정 AI 앱은 누가 많이 쓸까?

178
0
0
  • 한눈에 보는 핵심요약
  • 와이즈앱·리테일 데이터로 'AI 앱 사용자 행태'를 분석한 2025년 상반기 최신 AI 앱 동향 리포트입니다. - 대화형 챗봇 AI 앱 동향 - 번역/기록 관리 AI 앱 동향 - 아바타 채팅/사진 보정 AI 앱 동향
💌

       실시간 앱·결제 데이터 기반 시장/경쟁사 분석 솔루션 와이즈앱·리테일의

인사이트를 가장 빠르게 받아보고 싶다면, 뉴스레터를 구독해주세요! 

국내 최대 규모의 소비자 데이터로 분석한 다양한 산업군의 인사이트를 매주 보내드려요.





25년 상반기 최신 AI 앱 동향: 

챗봇, 번역, 기록, 아바타, 사진 보정 AI 앱은 누가 많이 쓸까?

앱시장분석





💡 리포트는 이런 내용을 담고 있어요!

  • ▶ 한국인 스마트폰 이용자 중 절반 이상이 설치한 AI 앱 업종은 '번역', '대화형 챗봇'
  • ▶ 대부분의 주요 AI 업종에서 20대 사용자 비율이 높으며, 아바타 채팅 앱은 10대, 사진 보정 앱은 30대 앱 사용자 비중도 높아


 

 

   

✅  한국인 스마트폰 이용자 중 절반 이상이 설치한 AI 앱 업종은 '번역', '대화형 챗봇'


AI 기술이 발전하면서 다양한 종류의 AI 앱이 출시되고 있는데요, 그중 챗봇, 번역, 기록, 아바타 채팅, 사진 보정 AI 앱의 사용자는 어떤 특성을 지녔을까요? 


와이즈앱·리테일이 한국인 스마트폰 사용자(Android+iOS)를 표본 조사한 결과, 2025년 6월 한국인 스마트폰 이용자 중 절반 이상이 번역 AI앱과 대화형 챗봇 AI 앱을 설치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대화형 챗봇은 52.1%, 번역은 61.4%, 기록 관리는 39.6%, 아바타 채팅은 12.8%, 사진 보정 AI 앱은 44.6%가 설치하고 있는데요,




주요 AI 앱 사용자(MAU) TOP 10은?

해당 업종 중에서 6월달에 가장 많은 한국인이 사용한 AI 앱은 '챗GPT(ChatGPT)'로 월간 활성 사용자 수(MAU) 1,844만 명을 기록했어요. 챗GPT는 5월에도 MAU 1,771만 명으로 한국인이 가장 많이 사용한 생성형 AI 앱 1위에 선정되기도 했는데요, 그 뒤로 네이버 파파고 1,261만 명, 스노우 499만 명, 구글(Google) 번역 316만 명, 제타 304만 명, 뤼튼 245만 명, 퍼플렉시티(Perplexity) 171만 명, 클로바노트 164만 명, 에이닷 138만 명, 소다 131만 명 순으로 나타났어요.





주요 AI 앱 사용시간 TOP 10은 무엇일까요?

한국인이 가장 오래 사용하는 AI 앱은 '제타'로 사용시간 3,149백만 분을 기록했어요. 그 뒤로 챗GPT 2,552백만 분, 크랙 384백만 분, 네이버 파파고 240백만 분, 퍼플렉시티(Perplexity) 115백만 분, 클로바노트 94백만 분, 채티 85백만 분, 스노우 77백만 분, 다글로 73백만 분, 뤼튼 59백만 분 순으로 나타났어요.





 대부분의 주요 AI 업종에서 20대 사용자 비율이 높으며, 아바타 채팅 앱은 10대, 사진 보정 앱은 30대 앱 사용자 비중도 높아

  •  


다양한 업종의 AI 앱을 사용하는 연령층은 어떤 차이가 있었을까요?

공통적으로 대화형 챗봇, 번역, 기록 관리, 아바타 채팅, 사진 보정 업종 AI 앱은 20대 사용자 비율이 높게 나타났어요. 그중 제타, 채티, 크랙 앱을 포함한 아바타 채팅 AI 앱의 경우 20세 미만 연령대의 사용자가 38%로 가장 높았고 스노우, 소다, B612, 메이투, 에픽 앱을 포함한 사진 보정 AI 앱은 30대의 비율도 25%로, 비교적 많은 사용자 비율을 차지한 것으로 조사됐어요.



주요 AI 앱의 업종별 사용시간 연령대별 비중은 어땠을까요?

일명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라고 불리는 1020대의 사용시간 비중이 가장 높은 앱 업종은 '아바타 채팅'으로 조사됐어요. 대화형 챗봇, 기록 관리, 사진 보정 AI 앱은 20대의 사용시간 비율이 높았으며, 번역 AI 앱은 20대와 30대의 사용시간이 많았어요. 특히 클로바노트, 에이닷, 다글로 앱이 포함된 기록 관리 AI 앱의 경우, 20대가 과반수를 차지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에요.






실시간 앱∙결제 데이터로 살펴본 '2025년 상반기 최신 AI 앱 사용 동향 '       리포트 어떠셨나요?

이외에도 업종별 AI 앱 사용자 추이, 연령대별 사용자 비중, 1인당 평균 사용시간/실행횟수 등 자세한 분석을 담은 

리포트의 전문이 궁금하시다면, 와이즈앱·리테일 에서 확인해보세요!






 

 

 

 

 

👀 지난 인사이트 리포트도 놓치지 마세요! 

✔️ [앱시장] 2025년 상반기 모빌리티 앱 사용 동향: 한국인이 많이 사용하는 모빌리티 앱은?

✔️ [앱시장] 2025년 6월 주요 엔터테인먼트 앱 동향: 한국인은 언제 동영상, 웹툰/웹소설, 음악 앱을 많이 사용할까?

✔️ [앱시장/소매시장] 2025년 6월 C커머스 동향: 해외직구 3대장 알리익스프레스, 테무, 쉬인의 앱 사용 및 결제 동향은?

✔️ [소매시장] 2025년 1~5월 세대별 특징: 잘파, 밀레니얼, X, 액티브 시니어 세대별 많이 결제하는 브랜드는?

✔️ [앱시장] 2025년 1~5월 세대별 특징: 잘파, 밀레니얼, X, 액티브 시니어 세대별 사용자가 많은 앱은?


 



 

 

 

 


이즈앱·리테일 데이터는, 

한국인의 스마트폰 사용, 결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제공해 시장의 숨겨진 가치를 더 빠르게 파악할 수 있어요. 

업계를 선도하는 최고의 전략기획, 마케팅, 데이터분석, 투자분석팀이 와이즈앱의 데이터를 통해 시장과 소비자의 빠른 변화에 대응하고 있어요. 

국내 최대 규모, 최장 기간의 소비자 패널 기반 데이터를 직접 경험해보세요!  👉   서비스 문의하기

 

 

#AI 앱 트렌드 #앱 사용자 분석 #앱 분석 #앱 통계 #앱 순위
이 글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서로의 생각을 공유할수록 인사이트가 커집니다.

    추천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