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위트스팟

2025년 상반기 팝업스토어 트렌드 (+분석 리포트 pdf 무료나눔)

스위트스팟

2025.07.04 10:00
  • 214
  • 콘텐츠에 ‘좋아’해줘서 고마워요 -
    0
  • 0

 


데이터로 보는 2025년 상반기 팝업스토어 트렌드 총결산

분석 대상: 올해 상반기에 진행된 팝업스토어 1,448개


 

안녕하세요 팝업스토어 No.1 기업 스위트스팟입니다.

 

Z세대 유행을 가장 빨리 알고 싶다면 'X'(구.트위터)와 중국판 인스타그램 ‘샤오홍슈’를 보라고 하죠?👀
오프라인 마케팅 트렌드를 가장 빠르게 읽고 싶다면 ‘업스토어’를 살펴야 합니다! 

팝업스토어는 단순한 일회성 이벤트가 아닌 브랜드가 시장 반응을 실험하고 소비자 경험을 설계하는 최전선으로 자리 잡고 있어요.
빠른 실행력과 짧은 운영 주기 덕분에 새로운 트렌드와 소비자 니즈가 누구보다 먼저 나타나는 공간이기도 하죠. 

 

이런 흐름 속에서 팝업스토어의 공간 구성과 콘텐츠에도 눈에 띄는 변화들이 감지되고 있습니다.

 

성수동은 이제 하나의 상권이 아닌 동연무장길과 서연무장길로 나뉘며 팝업스토어의 중심축이 재편되는 조짐을 보이고 있고,
전자담배부터 가상자산거래소까지 예상치 못했던 산업군마저 팝업스토어를 브랜드 브랜딩 수단으로 적극 활용하고 있어요.

 

 

 

“요즘 팝업스토어, 이렇게까지 달라졌다고? Z세대는 이런 거에 반응한다고?🤔” 싶을 정도로 다채롭고 빠르게 변화한 2025년 상반기 팝업스토어!

 

스위트스팟이 보유한 약 1,500건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팝업스토어 인기 지역, 콘텐츠 구성 방식, 주요 성공 사례까지
 2025년 상반기 가장 뜨거웠던 팝업스토어 트렌드를 정리해봤습니다.

 

 

 


 

 

📈 숫자로 정리한 2025년 팝업스토어 총결산


 

25년 상반기 팝업스토어, 1,488개!

올해 상반기에 운영된 팝업스토어 수가
작년 상반기 대비 2배 이상 증가하며

팝업스토어의 인기가
식지 않았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서울 비중 하락, 성수동 집중은 여전

서울에서 운영된 팝업스토어 비중은
작년에 비해 1.6%p 하락했으나
성동구는 소폭 상승하며
여전히 강세를 유지하고 있어요.
IP 팝업스토어 성지가 된 유통사

IP는 다양한 고객층을 공략하는
유통사의 전략으로 활용되어

유통사 팝업스토어의 절반 가량이
IP 카테고리에 집중되고 있어요.


 

 

✅ 패션/잡화 카테고리의 강력한 성장세
2025년 상반기에는 패션·잡화 브랜드들이 팝업스토어에 본격적으로 진입하면서 전체 시장의 약 30%를 차지했습니다. 전년 대비 10% 이상 증가한 수치는 팝업스토어가 더 이상 실험적 채널이 아닌, 주요 마케팅 플랫폼으로 자리잡았음을 보여줍니다.

 IP와 뷰티, 큰 변화는 없지만 여전히 강세
IP(21.8%)와 뷰티(14.7%) 분야는 전년 대비 점유율 변화는 크지 않았지만, 여전히 상위권을 지키고 있습니다. IP 콘텐츠는 ‘팝업스토어 스테디셀러’로서의 입지를 공고히 했고, 뷰티 카테고리 역시 경험 중심의 오프라인 마케팅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이어지며 팝업스토어 주요 분야로 자리잡은 모습입니다. 


 

📒 키워드 6개로 정리한 상반기 팝업스토어 트렌드 변화


*원본 이미지는 트렌드리포트 전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동연무장길

 

2025년 상반기 성동구에서 운영된 팝업스토어 중 약 32%가 동연무장길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서연무장길 대비 약 1.4배 많은 수치로, 공간 수요가 동연무장길로 빠르게 쏠리고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과거 팝업스토어 주요 입지였던 서연무장길은 최근 플래그십스토어 입점이 늘어나면서 팝업스토어 공간 자체가 줄어드는 반면, 브랜드들이 더 정교한 콘텐츠 구성과 체험 설계를 위해 넓은 공간을 선호하게 되며, 상대적으로 넓은 공간이 밀집한 동연무장길로의 이동이 가속화되고 있는 추세입니다.

 

 

#카테고리확장

 

뷰티·의약품, 전자담배, 종교, 가상자산거래소 등 이색적인 카테고리의 팝업스토어 진출이 두드러졌습니다. 과거에는 한정된 업종에서만 주로 활용되던 팝업스토어가, 이제는 특정 소비층을 겨냥한 특화 제품군에서도 활발히 운영되고 있는 것이죠. 이는 소비자들이 단순 구매를 넘어서 브랜드와의 경험을 중시하는 흐름과 맞물려 나타난 변화입니다. 이에 따라 각 산업의 특성을 반영한 팝업스토어 기획이 점점 더 정교하고 전문화되는 추세이며, 브랜드가 단기 공간에서도 깊이 있는 메시지를 전달하려는 노력이 강해지고 있습니다.

 

 

#티셔츠굿즈

 

밈이나 캐릭터를 활용한 프린팅 티셔츠가 Z세대 사이에서 취향과 개성을 표현하는 수단으로 떠오르며, 팬덤 유무와 관계없이 팝업스토어 굿즈의 핵심 아이템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실제로 팝업스토어 관련 커뮤니티 내에서 ‘티셔츠’ 언급량은 2024년 상반기 대비 52% 증가하며 꾸준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는데요. 이는 단순한 인기 아이템을 넘어 굿즈 자체가 하나의 문화적 표현 도구로 진화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최근에는 DIY 티셔츠 만들기, 나만의 그래픽 디자인 체험 등 참여형 콘텐츠로 확장되며, 굿즈를 넘어선 경험 중심의 팝업스토어 콘텐츠로 발전하는 양상도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 카테고리별 팝업스토어 트렌드 & 성공 사례 톺아보기

 

 

애니메이션을 제외한 주요 카테고리들은 성수동을 중심으로 팝업스토어를 운영했습니다. 이를 통해 성수가 여전히 젊고 트렌디한 소비층을 겨냥한 핵심 거점임을 알 수 있어요. 반면, 애니&캐릭터 카테고리는 홍대 AK플라자가 이미 ‘애니 성지’로 굳건히 자리 잡으면서 마포구의 점유율이 가장 높았습니다. 실제로 애니 팝업스토어가 운영된 주요 공간 6곳 중 절반인 3곳이 AK플라자에 위치해 있는데, 이는 해당 지역이 애니메이션 굿즈와 체험을 위한 최적의 장소로 인식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브링그린x웨이크메이크x오징어게임2 팝업스토어

| 장소 : 올리브영N성수
| 운영 기간 : 2025. 1. 5 - 1. 20


웨이크메이크와 브링그린은 넷플릭스 시리즈 <오징어 게임2>와의 콜라보 상품 출시를 기념해 팝업스토어를 운영했습니다.
오징어게임 속에 들어간 듯한 공간 구성과 함께, 시리즈에 등장하는 상징적인 게임들을 현장 체험 콘텐츠로 구현해 몰입감을 높였어요. 특히 오징어게임 진행 요원의 복장을 한 스태프들이 프로그램을 안내하고, 입장 시 촬영한 사진으로 참가자 카드를 제작해주는 등 실제 게임에 참여하는 듯한 경험을 선사해 큰 호응을 얻었습니다.

조선 스키피 팝업스토어
| 장소 : 스위트스팟 스테이지 익선
| 운영 기간 : 2025. 4. 29 - 5. 11


땅콩버터 브랜드, 스키피가 조선시대 콘셉트로 브랜드의 역사성과 글로벌 정체성을 풀어낸 몰입형 팝업스토어를 선보였습니다. 절구 찧기와 활쏘기 게임, 엽전으로 간식을 교환하는 이벤트, 조선시대 어투를 사용한 안내 등 테마에 맞춘 다양한 콘텐츠로 높은 몰입감을 이끌었어요. 스키피는 국내 소비자뿐만 아니라 해외 관광객까지 겨냥해, 서울의 대표 핫플레이스인 익선동에 팝업스토어를 운영한 점이 눈길을 끌었습니다.
 

플레이브 2주년 Happy Plave Day 팝업스토어 
| 장소 : 잠실 롯데월드몰 1층 아트리움
| 운영 기간 : 2025. 3. 7 - 3. 16


버튜버 아이돌, 플레이브의 2주년을 기념해 운영된 팝업스토어입니다. 스탬프투어와 라이브 포토 촬영, 한정 굿즈 판매 등 팬심을 겨냥한 다양한 콘텐츠로 방문객들의 체류 시간과 만족도를 높였어요. 1층 아트리움을 비롯해 롯데월드몰 곳곳에 플레이브 포스터가 랩핑되었고, 크리스피 도넛과 콜라보 메뉴도 출시하는 등 단순히 팝업스토어를 넘어, 오감을 자극하는 공간으로 확장된 점이 인상적이었습니다. 

가나디’s 쿠킹클래스 팝업스토어
| 장소 : 더현대 서울 B2F 아이코닉존
| 운영 기간 : 2025. 5. 15 - 5. 28


현재 Z세대에게 큰 인기를 끌고 있는 캐릭터, 가나디가 더현대 서울에서 팝업스토어를 오픈했습니다. 사전 예약은 오픈과 동시에 마감되며, 오픈 첫날에는 30분 만에 현장 웨이팅이 마감되는 등 뜨거운 방문 열기를 보였는데요. 캐릭터 IP를 적극 활용한 인테리어 연출로 방문을 유도하고 브랜드 인지도를 강화했으며 세심한 동선 관리, 포토존에서 스태프가 사진 촬영을 돕는 등 방문객 중심의 운영 디테일로 팝업 만족도를 한층 끌어올렸습니다. 

 

 

 


 

 

 

2025년 상반기에 운영된 팝업스토어는 운영 기간, 콘텐츠 구성, 입지 전략, 그리고 카테고리별 흐름까지 층 더 세분화되고 정교해졌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성수동 내에서도 입지별 특성이 갈라지고, 굿즈의 의미는 ‘소장’에서 ‘경험’으로 진화하고 있죠. 이런 변화는 하반기에도 이어질 것으로 예측되며, 특히 인기 카테고리 중심의 과열 경쟁이 예상되는 만큼, 브랜드에 맞는 맞춤형 기획력과 명확한 타깃 전략이 어느 때보다 중요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팝업스토어의 효용성은 이미 충분히 증명됐습니다.
브랜드 인지도 강화, 소비자 경험 극대화, 빠른 시장 테스트까지! 단기간에 여러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마케팅 수단으로 자리 잡았죠. 실제로 많은 브랜드들이 벌써 여름 시즌을 포함한 하반기 팝업스토어 준비에 들어간 상황이에요.

 

지금 필요한 건, 수많은 팝업스토어 속에서도 돋보일 수 있는 타깃 맞춤형 기획 전략입니다!

스위트스팟이 1,488개의 실제 데이터를 전수조사해 제작한 2025 상반기 팝업스토어 트렌드 리포트를 참고해, 브랜드에 딱 맞는 기획 전략을 세워보세요.

다가올 하반기, 경쟁이 더 치열해질 팝업스토어 시장에서 한 발 앞서갈 수 있습니다.

 

 

 

 

 

  • #상반기 트렌드
  • #오프라인
  • #리포트
  • #팝업스토어
  • #마케팅

추천 콘텐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