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Tube 광고

극좌 극우 유튜브에 빠진 대한민국 _ 확증 편향, 필터 버블 등

파일러

2023.12.06 08:00
  • 1163
  • 콘텐츠에 ‘좋아’해줘서 고마워요 -
    1
  • 0

파일러에서는 '브랜드 세이프티' 이슈로 '정치' 콘텐츠에 광고가 노출되는 것을 블록하고 있습니다. 물론 방송법에 따라 적절한 절차를 밟아 송출된 뉴스 영상을 담는 지상파 방송사 공식 유튜브나, 국가 공식 유튜브 등에서 배포하는 콘텐츠들에 대해서는 광고가 노출되는 것을 블록 하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파일러는 왜 '정치'와 관련된 콘텐츠를 블록하고 있을까요?

  

유튜브에 광고를 집행하는 대다수의 기업들은 정치 성향을 드러내지 않습니다. 또한 구성원 개인의 정치 성향이 회사의 정치 성향으로 비춰지는 것을 경계합니다. 기업들은 브랜드 이미지와 정치 성향의 연관성에 대해 경계하는데, 특히 정치적인 성향이 뚜렷하게 나타나는 콘텐츠에 광고를 올릴 경우 소비자 간의 갈등을 부추겨 일부 소비자들의 불매 운동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을 우려합니다. 무엇보다 정치적 콘텐츠들은 종종 논란을 일으킵니다. 그래서 이러한 콘텐츠에 광고를 게재할 경우, 해당 논란에 연루될 위험이 있으며 브랜드 이미지 손상을 염려해야 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파일러는 정치 성향이 강한 유튜브 채널에 광고를 노출했을 경우, 해당 기업이 문제가 될 수 있는 콘텐츠를 지원한다거나, 콘텐츠의 내용에 공감한다는 듯한 모습으로 비칠 수 있어 '브랜드 세이프티' 관점에서 이를 막기 위해 필터링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었습니다.

  

특히 최근 유튜브 내 정치 콘텐츠가 대세인데요, 기사에 따르면 의정 활동 홍보를 목적으로 국회의원 10 중 9명이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고 있다고 합니다. (출처 : 매일일보) 그만큼 정치 관련한 콘텐츠를 만드는 사람들이 많아졌고, 당원들이 아니더라도 지지하는 지지층들이 유튜브 채널을 개설해 직접 목소리를 낼 수 있는 창구가 생겨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물론 중도를 지키면서 사실에 입각한 콘텐츠를 만들어 정보를 전달하려는 정치 채널들도 있겠지만, 극좌 - 극우 성향으로 과하게 사건사고를 부풀리는 콘텐츠들이 급증하고 있어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 파일러에서 확인한 민감한 정치 콘텐츠들

 

위 이미지는 파일러에서 운영 중인 AiD 가 차단한 정치 콘텐츠의 일부입니다. 대부분의 영상들이 대통령, 영부인, 정치인에 있었던 일에 대해 과하게 부풀리고 자극적인 썸네일 및 제목을 사용하는 모습인데요, 같은 현장에서 있었던 소식을 알리는 내용이더라도 지상파 TV 뉴스 보도와 유튜브의 콘텐츠를 비교해서 보게 되면 분위기와 강조하는 내용이 많이 다른 것을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최대한 팩트만 전달하려는 지상파 TV와 달리, 현장 영상을 짜깁기 하거나 자극적인 장면만을 잘라서 편집한 유튜브 영상은 보는 사람들로 하여금 확증 편향을 증폭시키는 '선택적 인지'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확증 편향(確證偏向, 영어: Confirmation bias) : 원래 가지고 있는 생각이나 신념을 확인하려는 경향성이다.[2] 흔히 하는 말로사람은 보고 싶은 것만 본다와 같은 것이 바로 확증 편향이다. 출처 : 위키피디아

 

선택적 인지 또는 선택적 인식(영어: selective perception) : 인간이 그들의 환경을 인지할 때, 자신에게 영향을 주거나 자신이 기대하는 것과 일치하는 것 만을 인식하는 경향이다. 출처 : 위키피디아

 

채진원 경희대 공공거버넌스연구소 교수는공영방송을 통해 종합적으로 뉴스를 들어 이해하는 것과 짧은 시간 동안 좋아하는 특정 매체에만 귀 기울이는 것은 객관성·사실성·종합성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면서매체들이 양극화되어 중간지대가 많이 사라지고 극단적인 진보와 보수가 강조되고 있다. 특히 유튜브에서 추천하는 채널은 대체로 일방향적이고 특정 성향을 띠는 콘텐츠이기 때문에 이에 반복적으로 노출되는 사람들의 성향이 더 강화되면서 일반 국민들과의 공감대가 줄어든다라고 설명했습니다. 출처 : 시사저널

 

또한 중요한 사건 판결이 나오는 날이나 대규모 집회가 열리는 서울 도심에서 삼각대를 설치하고 진을 치는 유튜버들이 최근 자주 목격되는데, 이는 대한민국에서만 볼 수 있는 독특한 현상이라고 합니다. 이런 유튜버들이 갑작스럽게 대규모로 출연하게 된 이유는 양극화된 정치적 환경에서 비롯된 측면이 크다고 이종명 경북대 사회과학 연구원이 밝혔습니다. 또한 유승현 한양대 언론정보대학원 교수는 이들은 자신의 발언이 사실로 확인되면 좋은 거고, 아니면 말고의 식이기 때문에 사실 관계를 중요하게 여기지 않는다고 평가했습니다. 출처 : 한국일보

 

여러 이유로 브랜드사에 위협이 될 수 있는 정치 콘텐츠 내 광고 노출, 파일러는 이러한 이슈를 빠르게 인지하고 시장 내 브랜드사의 니즈(NEEDS)를 반영하여 많은 브랜드들이 정치적 콘텐츠로 인한 논란에 휘말리지 않도록 선제적으로 방지하는 솔루션 AiD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알고리즘을 통한 광고 방식으로 사람이 컨트롤 할 수 없는 동영상 광고, 위와 같은 위협을 방지해야겠다고 판단하셨다면 bs@pyler.tech로의 문의를 통해 간단하고 안전하게 동영상 광고를 집행할 수 있습니다.

 

  • #유튜브
  • #유튜브광고
  • #콘텐츠
  • #브랜딩
  • #브랜드세이프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