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레터

이 마케팅 왜 이제 알았을까? (feat. K-아이돌)

CJ ENM :D레터

2023.04.06 08:00
  • 5560
  • 콘텐츠에 ‘좋아’해줘서 고마워요 -
    1
  • 0

 

 

요즘은 딱 정해진 '흥행 공식'이 없는 것 같아요. '웰 메이드'라고, 유명 연예인이 나온다고 무조건 뜨지 않죠. 공들여 만든 프로그램이 자칫 묻히기도 쉬워졌고요. 😓


이제 크리에이터의 역량은 콘텐츠를 잘 만드는 데만 그치지 않습니다. 

'어떻게 눈에 자주 많이 띌 것인가'까지 빈틈없이 계산하는 설계자가 되어야 해요. 👩‍🔧 

본편 릴리즈 외에, 콘텐츠 소재를 활용할 방법은 방영 전후 유튜브와 숏폼 영상을 통한 사전, 사후 노출과 확산일 텐데요.  



더 많은 비하인드와 메이킹 영상을 원하는 드라마 팬들의 반응

(출처 : 커뮤니티, 트위터 등) 


팬들은 항상 더 많은 떡밥을 원합니다. 그런데 우리에게 익숙한 소위 '마케팅 콘텐츠'는, 티저+제작발표회+대본리딩+NG+메이킹 으로, 어느 정도 '공식화'되어 있어요. 비하인드 콘텐츠 문법에 변화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그래서 이번 주 :D레터는 '마케팅 맛집' 4세대 아이돌을 주목했습니다. 여러분이 아이돌 덕후가 아니더라도, 쇼츠 피드에, 홈화면에 어느샌가 아이돌 짤이 스며들어 있지 않나요? 그게 다~ 비결이 있더라고요. 👀   



비하인드력(力) 최강자 K 아이돌


요즘 아이돌, 무대만 잘해서 팬 모으는 거 아닙니다. 🙅‍♀️

'무대 밖' 모습까지 철저하게 공들이고 있어요. (우리는 이걸 '무대 밖 마케팅'이라 부르기로 했어요)


1) 중간 과정까지 전부 보여주는 녹음실/안무 비하인드 


(여자)아이들 'Nxde' 녹음실 비하인드



IVE 'After LIKE' 녹음실 비하인드


4세대 아이돌은 새 앨범 나오면 유튜브에 '비하인드' 푸는 게 필수 코스입니다. 팬들은 최종 버전뿐 아니라 데모버전, 중간버전, 리허설까지 모두 보고 싶어 하니까요. 이때 중요한 건, 그냥 미공개 영상 푼다고 저절로 '영업' 되는 게 아니라는 거예요. 팬심 저격 포인트가 명확합니다. 


뉴진스는 '음색', (여자)아이들은 '전소연의 프로듀싱 능력', 에스파는 'SMP 세계관과 선배들의 코칭', 아이브는 '훈훈한 팀워크' 등을 강조해요. 댓글을 보면, 영상을 찾아온 사람들이 어떤 포인트에 감격😭하는지 한눈에 알 수 있죠. (그만큼 영상에서 의도를 잘했다는 뜻!) 


특히 발 빠른 SM은 아예 비하인드 전용 계정(SMP FLOOR)을 만들어, 댄스팀의 안무 시안, 카메라 가이드, 무대 패션 등 제작진끼리 공유하던 정보를 팬들에게도 오픈했어요.

이게 다~ 팬 시점에서 무엇이 궁금할지, 어떻게 '덕후'를 많이 모을지 고민해서 나온 결과물이겠죠. 



2) K-땀방울 샅샅이 담은 데뷔 다큐



르세라핌의 'The World Is My Oyster'

 


베이비몬스터의 'Last Evaluation'


BTS나 블랙핑크 같은 K-POP 선봉장의 대서사가 아니어도, 이제 막 데뷔한 걸그룹도 다큐멘터리를 냅니다. 영상을 보면, '예쁘고 멋진 우리들'보다는 'K-고생, K-열심'🔥을 보여주겠다는 의지가 읽혀요. 데뷔 과정에서 흘리는 눈물, 연습하다 혼나는 모습, 심지어 팀에서 방출되는 멤버까지. 이보다 솔직할 수가 없습니다. 완성도와 진정성, 두 마리 토끼🐇🐇 다 잡겠다는 거죠.


장점은, 멤버별 자연스러운 '얼굴도장'과 '서사 부여'고요. (데뷔 전부터 '내새끼' 픽 가능)

재밌는 점은, K-열정이 외국인 팬심을 흔들었다는 거예요. 수많은 해외 팬이 댓글 창에서 울고 있습니다. 😂



3) 무대 뒤 제작진의 역량과 노고


에스파 'DREAMS COME TRUE'를 녹음하는 프로듀서 유영진

(출처 - 'SMTOWN' 유튜브)



베이비몬스터를 평가하는 총괄프로듀서 양현석

(출처 - 'BABYMONSTER' 유튜브)


아이돌 뒤 '진짜 설계자' 제작진의 존재, 이젠 숨기지 않습니다. 오히려 드러내요. 아이돌은 기획력이 한껏 들어간 작품이자 'IP'고, 소비자들은 그 뒤편 제작자의 역량을 본다는 걸 이미 알고 있는 거죠. (뉴진스에서 민희진을 보고 에스파에서 유영진을 보듯이요.)


당사자만 등장했던 기존 '자컨'들과 달리, 보컬/안무 코치, 앨범 스토리텔링 담당자, 레코딩 프로듀서 등 다양한 기획자가 전반에 나서서 얼마나 'IP'에 공을 들였는지 설명합니다. 요즘 소비자들은 '무대 위'와 '무대 밖'을 구분하는 데 거부감이 없으니까요. 



📌 '무대 밖 마케팅'에서 얻어가는 팁  


✅ 모든 순간을 콘텐츠화

: 비하인드의 비하인드까지. 포인트는 너무 '대놓고 바이럴'하는 느낌은 빼고, 공식 마케팅 활동처럼 안 보이도록 자연스럽게 침투하는 거예요. (썸네일, 메타에서 자연스러운 바이브를 어필!) 직캠, 풀캠, 세로캠, 때로는 '화질구지'여도, 팬들은 그 자연스러움을 좋아하니까요.  


✅ '무대 위 캐릭터👨‍🎤'+'본체🙍‍♂️' 둘 다 사랑하도록

: 팬들은 콘텐츠 안에서만 극화되는 캐릭터뿐 아니라, 일상/본캐도 궁금해합니다. 각종 TMI는 다다익선이에요. 허당 본체는 '오히려 좋아'하고요. 갑자기 프로로 돌변하는 갭차이, 출연자 간 훈훈한 팀워크 등. 덕후들의 심금을 울릴 포인트를 잡으면 좋겠죠.


 ✅ 크리에이터의 빛나는 역량

: 카메라 뒤 기획자를 궁금해하는 건 아이돌 산업에만 해당하는 건 아닙니다. 이전보다 댓글에서 '제작진'을 많이 찾는 게 그 증거죠. 드라마/예능 제작 현장에서 보여줄 수 있는 분야별 크리에이터의 역량은 무궁무진할 거예요.



드라마에서도 "이게 되네.."


'무대 밖 마케팅' 물론 생소하실 겁니다. 아이돌에만 해당하는 얘기가 아닐까 싶기도 하고요. 사실 우리는 이미 드라마에서도 '비하인드력'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바로 <더 글로리> 얘기입니다. ⚔️👩🏻‍🏫


<더 글로리>는 콘텐츠 그 뒤편의 얘기를 건드리면서 화제성 발굴의 영역을 확장했는데요. (사골 우리기식으로 조회수를 모으는 게 아니고요!) 아이돌 버금갔던 넷플릭스의 <더 글로리 파트2> 마케팅을 아래 타임라인을 통해 확인해보시죠.


(클릭하면 큰 이미지 👆)



방영 전후로 아주 분주합니다. 그리고 "제작자(감독, 작가 등) - 출연자(배우) - 시청자" 티키타카가 이뤄지고 있죠. 공개 전에는 팬피셜로 본편 공개에 앞서 떡밥 회수의 빌드업을 마련했고요. 공개 후에는 본편 그 너머의 이야기를 직접 끄집어내서 썰을 풀었습니다. 👥💬


이런 스릴러/추리물은 결말 공개와 동시에 시청자들의 관심이 빠르게 식을 수 밖에 없는데요. 직접 '시청자 피셜'들을 다루고, 여기에 제작자의 코멘트를 더하면서 만들어 낸 '보고 또 보는 재미'는 이를 방지하는 역할도 했습니다. 💪



(수집 대상 – 22/12/30 ~ 23/03/31 업로드 된 공식/비공식 <더 글로리> 비하인드 및 메이킹 영상)

 

또한 매거진 계정(엘르, W Korea 등등)에서 거의 모든 출연 배우의 개인 인터뷰를 진행했죠. 📰 (예솔이까지도!) 못다한 비하인드 스토리도 풀고, 배우 본체의 매력도 한껏 살려줬는데요.

 

소비자들은 매거진 인터뷰 + 언급된 본편 장면 + 넷플릭스 공식 비하인드까지 모조리 엮은 매시업을 제작하면서 공식 콘텐츠와의 시너지를 만들어 냈습니다. ✨ (아래 영상)


 

과몰입 깨주는 《더 글로리 파트 2》

비하인드 장면 모음ㅋㅋ


 

[더글로리 완결] 미스테리했던 김경란

시에스타 취업 비화 밝혀졌다!ㄷㄷㄷ


그리고 드라마 소비자들도 마치 아이돌 덕질하듯 콘텐츠를 소비합니다. 나노 단위로 쪼개서 무한 반복하고, 사소한 것들에도 의미를 부여하죠. (서사가 없으면 만든다.) 🤭

"사라-혜정"을 비롯한 (덕질의 기본이라고도 볼 수 있는) 관계성 소비는 물론이었고요. 짧은 비하인드에서도 맘에 드는 장면은 빠르게 움짤(gif)로 만들었습니다. 📸


사라-혜정 관계성 소비

(출처 - 트위터 @hiiamnugu)



넷플릭스 비하인드 움짤

(출처 - 트위터 @Europa_gif)


또 다른 비하인드, 배우 본체들의 인스타 멤놀(=멤버놀이)에도 주목해볼까요? 

(여기서 멤놀은 배우 본체가 인스타에서도 드라마 속 인물인 것처럼 행동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요즘엔 콘텐츠 외적인 요소도 같이 소비되고요. 그 중에서도 배우들의 SNS는 거의 필수인데요. (드라마 보다가 인스타그램 찾으러 가보신 적 있으실 겁니다.) 따라서 각자 SNS에서 본체와 극 중 캐릭터를 열심히 오가는 자체적인 '멤놀'에 시청자들은 큰 관심을 보였습니다. 이는 자연스레 IP에 대한 애정으로 이어졌죠. 💗 (배우 인스타에 달린 주옥같은 댓글들 보이시죠?)



배우 인스타그램 게시물 반응

(출처 - 트위터 @cerlubluu_)



배우 인스타그램 게시물 속 시청자 댓글

(출처 - 인스타그램 @limjjy2)


정리하자면 이렇게 다양한 곳에서 등장하는 '비하인드력'은,

다른 재밌는 콘텐츠로 빠르게 넘어가는 요즘 시청자들을 조금이나마 오래 붙잡아두는 강력한 힘을 지녔습니다. 스토리가 모두 공개된 후에도 말이죠. 그리고 일반 시청자를 찐팬으로 만들고요. 😎



알고리즘 똑똑하게 활용하기


👩‍🏫 한 줄 요약 : '무대 밖' 활동이 IP 화제성으로 귀결되려면, 무엇보다 눈에 자주 띄어야 한다.


우리가 잠재 시청자의 유튜브 첫 화면(홈화면)에 띄울 수 있는 영상은 몇 개나 될까요?

PC기준 영상 10개, 쇼츠10개. 모바일(아이폰)기준 영상 1개, 쇼츠 8개 정도인데요.


앞서 본 <더 글로리> '무대 밖 콘텐츠' 관련 영상을 딱 한 번만 시청해도, 이후 홈화면에 관련 영상이 최소 하나씩은 뜨더라고요. 😮  (아무리 새로고침해도 계속 뜬다!)

일단 많이 업로드 해두면, 알고리즘이 알아서 친절하게 다음 영상을 갖다주는 거죠. 


방영 전에도 후에도, 소비자의 홈화면과 쇼츠피드에 열심히 '출첵' 해보아요. 🏃




 


“심심한데 OO 레전드 편 추천해 줘!”

 

예전엔 흔히 레전드 예능, 드라마라 불리는 IP들이 저 빈칸에 들어갔었는데요. 이젠 아이돌 자컨(=자체 컨텐츠)이 저 빈칸을 채우고 있습니다. 🎤🕺 팬들만을 위한 부가적인 콘텐츠, 비하인드 콘텐츠로 시작했으나 이제 하나의 장르가 된거죠.




그래서 저도 추천해드립니다! 최근 웃긴다고 소문 자자했던 몬스타엑스가 드디어 자컨을 들고와 화제였는데요. 댓글만 봐도 팬 아닌 시청자들 엄청 많네요. 🤭 예상만큼 웃겨서 진짜 웃겼던, 썸네일부터 심상치 않은 <몬 먹어도 고> 전달드립니다. 💚💜

 

 



  • #더글로리
  • #마케팅 사례
  • #동영상 마케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