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MC미디어의 생각

2020 인터넷 쇼핑 행태 및 구매 여정별 접점 분석 보고서 요약본

DMC미디어

2020.09.25 08:00
  • 3039
  • 콘텐츠에 ‘좋아’해줘서 고마워요 -
    0
  • 2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온라인(인터넷 모바일) 쇼핑 총 거래액은 135조 2,640억 원으로 전년(113조 7,297억 원) 대비 19% 가량 증가했다. 지난해와 비교하면 다소 둔화 되었지만, 여전히 20%에 육박하는 성장률을 기록했다는 점에서 앞으로도 국내 이커머스 시장의 성장세는 쉬이 꺼지지 않을 전망이다. 특히나 올해는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한 ‘언택트’ 소비 확대로 이커머스 시장의 추가적인 성장이 기대되고 있으며, 나아가 코로나가 본격적으로 유행하기 전 이미 2월부터 이미 우리나라 인터넷 쇼핑 거래액(11조 9,618억 원)은 전년 동월 (9조 6,073억 원) 대비 24.5% 증가해 이러한 기대감을 더욱 고조시키고 있다.


이 와중에 모바일은 지난해 인터넷 쇼핑 총 거래액의 64.5%(87조 2,736억 원)을 감당하면서 우리나라 이커머스 시장을 견인하는 key driver로서 위상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이를 올해 또다시 언급하기에는 적잖이 지루한 감이 있기에, 2020년 DMC미디어에서는 디바이스보다 구매 품목 단위의 성장세에 주목했다. 바로 음식 서비스와 음·식료품이 그 주인공으로,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2월 기준 전년 동월 대비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인 상품군은 식품(77.7%)이며, 서비스 중에서는 음식서비스(82.2%)가 기타서비스(161.0%) 다음으로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다.


이와 같이 음식 관련 서비스 및 재화가 타 품목 대비 높은 성장세를 보인 까닭으로는 다양한 해석이 가능하겠지만, 본고에서는 신속 배송서비스의 완연한 보급을 대표적인 이유로 꼽고 있다. 설문조사 결과 소비자들 또한 인터넷 쇼핑 품목으로서 식품/건강의 중요도를 지난해보다 높게 인식하고 있으며, 아울러 타 품목 대비 식품/건강 품목에서 신속 배송서비스에 대한 높은 니즈(식품/건강 품목 구매 시, 가격이 다소 비싸더라도 익일/당일 내 배송을 완료하는 쇼핑몰을 선호한다: 40.9%)가 관찰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2020년 신속 배송서비스 침투율(43.1%)이 전년 대비 15.8%p 증가한 점 또한 이와  같은 해석을 지지하는 결과 중 하나이다.


이처럼 이커머스 시장의 전반적인 흐름과 그에 대한 원인을 통합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거래액이나 매출액과 같은 일반적인 경제 지표 외, 구체적인 소비자 구매 활동과 인식 수준을 담은 U&A 지표도 함께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에 DMC미디어에서는 매년 1,000명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인터넷 쇼핑 단계별 접점 및 각 채널/매체별 영향력, 주요 쇼핑몰 업태/사이트별 경쟁력과 개선 영역을 포괄하는 인터넷 쇼핑 U&A 전반에 대한 설문조사를 수행, 국내 소비자의 구매 행태 변화를 추적관찰해오고 있다. 또한 기본적인 인터넷 쇼핑 활동 외 중고 거래, 친환경 소비, 소비자 선택형 광고 등 근래 주목 받는 마케팅 이슈에 대한 최신 소비자 여론도 가감 없이 전달함으로써 빠르게 변화하는 소비자의 잠재적 니즈와 특징에 대한 분석도 제공하고 있다. 이에 본고가 이커머스 시장의 전반적인 흐름을 조망하는데 모쪼록 유용한 참조점이 되기를 소망하며, 향후 이커머스 시장의 영토 확장에 작게나마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자세히 보실 수 있습니다. 

 

 

 

1. 인터넷/오프라인 쇼핑 일반 : 쇼핑 정보 채널 vs. 쇼핑 구매 채널
2.1 인터넷 쇼핑 일반 : 인터넷 쇼핑 디바이스 및 월 평균 쇼핑 횟수
2.2 인터넷 쇼핑 일반 : 구매 품목 및 쇼핑 금액
3. 상품 구매 전 접점 : 주의(Attention) 및 흥미(Interest)
4. 상품 구매 전 접점 : 정보 탐색(Search)
5. 상품 구매 시 접점 : 구매(Action)
6. 상품 구매 후 접점 : 공유(Share) 및 향후 전망
7. 최신 마케팅 이슈 분석

 

 

  • #온라인 쇼핑
  • #모바일 쇼핑
  • #이커머스